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가 미국 연구진이 10년동안 성공하지 못한 개 복제 프로젝트에 성공하면서 황우석 사태후 행적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황우석 박사는 줄기세포 논문조작 사건으로 2006년 3월 파면된 이후 재판에만 참석했을 뿐 외부와 연락을 끊고 지냈다는 게 지인들의 얘기다. 황 박사는 당시 자신을 따르던 20여명의 서울대 연구원(현재 35명)과 함께 서울대 실험실을 떠나 그해 7월 서울 구로동의 한 건물에 전세를 얻어 간이 실험실을 꾸렸다.
그러나 서울시내에서는 동물실험을 할 수가 없어 경기도 용인에 있는 친척의 농기구 창고를 실험실로 개조해 개 복제실험에 다시 착수했다고 한다. 그러나 먼지 때문에 연구가 더 이상 어렵게 되자 그 친척은 인근지역에 실험용 건물을 신축해줬고 황 박사팀은 2007년 1월 초 이곳에 입주하면서 본격적인 실험에 돌입했다는 게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수암연구원에 따르면 황 박사팀은 미시 프로젝트에 성공하기에 앞서 2007년 1월 `골든리트리버' 3마리를 복제했으며 의학연구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비글종 개 복제에도 성공했다고 전했다.
황우석 박사가 이번에 개가를 올린 미시프로젝트는 미국 아폴로그룹의 회장이자 지네틱 세이빙스 앤드 클론(Genetic Savings & Clone)이라는 회사의 설립자인 존 스펄링 박사가 1998년 애완견인 `미시'를 복제해 달라며 230만 달러를 텍사스 A&M 대학에 기부하면서 시작됐다.
당시 텍사스 A&M 대학에서는 웨스츄신(Westhusin) 교수가 이 프로젝트를 수주했는데 여기에 한국인 과학자 신태영 박사가 복제실험 담당자로 합류했다. 신 박사는 복제고양이인 CC(Copy Cat)를 탄생시키는 데는 성공했지만 복제견을 얻는 데는 실패했다.
이후 신 박사는 2002년 미국서 만난 황 박사에게 개복제 연구를 권유했고, 황 박사가 이 제안을 받아들여 2005년에 세계 첫 복제개인 `스너피'를 탄생시켰다는 게 수암연구원의 설명이다.
이런 인연 때문에 존 스펄링 박사가 세운 미국의 바이오아트사는 지난해 7월 수암연구원을 찾아 미씨 복제 프로젝트를 제안했고 미씨로부터 추출한 5종의 동결 체세포를 그해 9월초 한국에 보내왔다.
황 박사팀은 미씨 프로젝트를 시작한 지난해 9월 27일 복제 수정란을 대리모에 착상시키자 2마리가 임신에 성공했으며, 이후 1마리는 죽고 12월에 태어난 두번째 복제 개가 자라 현재의 `미라'로 명명됐다.
황 박사팀은 이후 `친구'와 `사랑' 등의 2, 3호 복제 미씨를 연이어 탄생시켰으며, 미국 캘리포니아대학(UC Davis) 수의과대학 내 `유전자검사연구소(Genetic Diagnostic Laboratory)'에서 유전자검사를 실시한 결과 복제 개라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수암연구원은 전했다.
감사 함니다 감사 함니다 황박사님 감사 함니다 정말 감사 함니다 어려운 시련을 꾿꾿하게견디며 또 다시 성공 하쎠군요 박사님 화이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