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現소득 1.5배돼야 서울 아파트 구입"
상태바
"現소득 1.5배돼야 서울 아파트 구입"
  • 뉴스관리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08.08.03 08: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반 근로자가 빚을 얻어 서울에서 아파트를 사려면 소득이 현재의 1.5배는 돼야 무난히 대출 원리금을 갚아나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주택금융공사는 3일 선진국에서 널리 활용하고 있는 `주택구입능력지수(HAI)' 개념을 적용해 우리나라 도시 근로자들의 지역, 주택규모, 계층별 주택구입 능력을 측정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 분석에 따르면 지난 3월 현재 지역별 주택구입능력지수는 서울이 151.4로 가장 높았다.

   주택구입능력지수는 `대출상환가능소득/중간소득 × 100'으로 도출한다. 이 값이 100을 넘어 수치가 높을수록 대출 상환이 어렵고, 100을 밑돌수록 그렇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울이 151.4라는 것은 중간 소득의 근로자가 중간 가격대 아파트를 살 경우 대출 원리금을 무난히 갚으려면 소득이 최소한 현재의 1.5배는 돼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금액으로 환산하면 주택대출 금리가 연 6.7%인 상황에서 연간 소득이 4천700만원인 서울의 중간 소득 가구가 중간 가격대 주택(3억9천만원)을 구입하려면 연 소득이 7천100만원(연소득의 1.5배)은 돼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 지수는 서울에 이어 경기(105.1)가 100을 넘었고 나머지 지역은 대구 68.0, 인천 66.8, 부산 56.9, 대전 52.0 등 모두 100을 밑돌았다.

   아파트 규모별로는 60㎡ 이하인 소형 아파트와 85㎡ 이하인 중소형 아파트의 주택구입능력지수(전국 기준)가 각각 43.3, 76.6으로 나타나 구입에 별 어려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35㎡ 이하인 중형, 135㎡ 초과인 대형 아파트의 경우 각각 148.7과 307.5로 높아 대출을 이용해 아파트를 구입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대형 아파트의 주택구입능력지수는 소형 아파트의 무려 7.1배에 달했다.(연합뉴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