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년 후’ 는 ‘좀비들이 세상을 지배하는 지구를 살리려’라는 막중한 임무를 맡게 된 무한도전 멤버들의 모습을 담았다.
'28 년후' 편은 카메라 48대 동원, 촬영 총 참여인원 400명, 무한도전 2회분의 예산을 들여 준비한 특집 편이었다.
하지만 좀비와 무한도전 멤버들과의 쫓고 쫓기는 사투가 28분만에 끝나 결국 '28년 후'는 계획된 시나리오대로 결말을 맺지 못한 채 끝났다.
이에 제작진은 '28분 후'로 제목을 바꾸고 "죄송합니다"라며 "현재 경위서를 작성 중이다" "무모한 도전은 계속된다"는 자막을 내보냈다.
이 방송이 나간 뒤 '무한도전' 시청자 게시판에는 "뭐 하는 거냐"라며 비난의 글이 쇄도했다.
대부분의 네티즌들은 "너무 기대가 커서 실망도 크다" 등의 의견을 남기며 불만을 드러냈다.
하지만 일부 네티즌들은 "솔직히 리얼 버라이어티에서 실패한 촬영분을 이렇게까지 끌어내는 프로가 어딨답니까?"라며, "식스센스의 반전을 능가한다" 라는 내용의 글을 남겨 무한도전을 옹호하는 의견을 보였다.
이밖에 재촬영할 것을 요구하는 네티즌들과 어설픈 시나리오를 지적하는 네티즌들도 눈에 띄었다.
무한 도전의 '28년 후'의 실패는 장선우 감독의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과 비교되기도 해 또 다른 화제를 낳고 있다.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은 2002년 제작된 영화로 110억 원이라는 예산으로 제작됐으나 저조한 관객수로 흥행에 참패한 대표적인 영화로 꼽힌다.
무한도전 제작진은 방송 전 이미 “'28년 후'를 위해 좀비 영화를 총망라해 탄탄한 시나리오를 준비했다"고 발표하면서 "예능판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이 되지는 않을 지 우려도 된다”고 밝힌 바 있다.
황빠들이나 무도빠들이나 눈 뒤집혀서 맹신하는 거 하곤.. 무도빠들 믿고 설치다가 시청자들의 차가운 무관심 속에서 사라지기 싫거든 정신차려라! 무한도전 시청 시간이 무슨 당신들 팬미팅 시간인 줄 착각하는 모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