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화기 때문이라고요?”
19세의 Y양은 뺨과 턱 밑에 여드름이 두텁게 깔려 있었다. 여드름의 원인을 ‘위장이 나빠서’ 라고 진단하자 믿을 수 없다는 표정을 지으며 소화기와 여드름이 무슨 상관이 있냐며 물었다. 그녀는 원래부터 소화기가 약해서 먹는 족족 소화를 잘 시키지 못하는 편이었다. 유학 준비를 하면서 신경을 많이 쓰다 보니 점점 더 위장 장애가 심해졌고, 고질적인 위장 장애가 온몸을 순환하는 기운의 흐름을 막게 되었다.
기 통즉불통, 기 불통즉통(氣 痛則不痛, 氣 不痛則痛). 한의학에서 바라본 우리 몸 건강의 기본 원리이다. 기가 몸의 상하 좌우로 잘 통하면 아플 일이 없지만 기운이 어딘가 막혀 통하지 못하면 병이 생긴다는 뜻이다.
위장은 우리 몸의 중심, 즉 중초(中焦)의 기운의 흐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정가운데가 소화불량으로 꽉 막혀있다면 기운이 흐르지 못해 몸 위쪽의 열이 아래로 내려가지 못하고 그대로 얼굴로 올라가게 된다. 그걸 한의학에서는 상열(上熱)이라 한다. 상열이 얼굴로 터져 나와 화농성 여드름이 되는 것이다.
특히 그녀는 유학 준비를 하는 동안 알게 모르게 받은 스트레스 때문에 심장의 열까지 얼굴로 치받아 올라가 증상이 더 심해진 경우였다.
여드름이 왜 하필 얼굴에 나는 것인지 알아보자.
한의학의 기본 원리인 ‘음양 이론’ 에 근거해 인체의 음양을 나눌 대, 상체는 양에 속하고 하체는 음에 속한다. 얼굴은 상체에서도 제일 위에 있기 때문에 양중(陽中)의 양(陽)이라고 할 수 있다. 아무리 추운 겨울에도 얼굴을 내놓고 다닐 수 있는 이유가 바로 얼굴이 양 중의 양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양의 속성을 가진 얼굴에 생기는 피부질환의 원인은 대부분 열이다. 또 혈의 순환 통로인 경락들이 다 얼굴로 모이기 때문에 오장육부에 어떤 문제가 생기면 해당 경락이 지나가는 얼굴 부위에 여드름이나 트러블이 나타나게 된다.
다시 말해 얼굴은 그냥 얼굴이 아니라 몸 속 건강의 거울이나 마찬가지다. 인체 경락의 집합체인 얼굴. 그 얼굴에 트러블이 생겼다면 바로 오장육부의 건강 상태부터 체크하는 것이 좋다.
얼굴에 전체적으로 나타나는 여드름은 대개 소화기 장애에서 비롯된다. 물론 선천적으로 열 체질인 소양인이나 열이 많은 태음인이 여드름 때문에 고생을 하는 경우가 많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 피부 트러블이 생겼다면 위장부터 점검해보는 것이 좋다.
만약 여드름 체질이 아닌데도 양쪽 뺨에 여드름이나 뾰루지가 났다면 십중팔구 위장에 문제가 생긴 경우다. 이마에 빨간 뾰루지가 꽃을 피웠다면 심장이나 소장, 대장이 안 좋아서 몸 안에 독소가 쌓인 경우이다. 또 입과 턱 사이에 문제가 생겼다면 신장이나 방광, 여성의 경우에는 자궁을 체크해보아야 한다.
만약 얼굴에 아무런 트러블이 없다면 몸 속의 오장육부도 다 안녕하다는 얘기이고, 거꾸로 오장육부에 문제가 생기면 바로 얼굴의 해당 경락이 지나가는 곳에 트러블이 생긴다는 얘기가 된다.
※ 얼굴 부분별 트러블과 해당 장부
① 얼굴 전체와 입 주위에 많이 나는 뾰루지
- 소화 기능이 약하다는 신호.
- 특히 소음인 체질에 많은 유형.
② 이마에 나는 여드름과 뾰루지
- 심장이나 소장, 대장에 열이 있다는 신호.
- 변비가 심할 때도 난다.
③ 입 아래쪽과 턱 주변에 나는 U자형 여드름과 뾰루지
- 자궁이나 신장에 어혈이 있다는 신호.
- 생리 주기와 관련이 있다.
④ 코 주위에 나는 뾰루지와 블랙 헤드
- 폐에 열이 있다는 신호.
⑤ 양쪽 뺨에 나는 여드름과 뾰루지
- 위장에 열이 있다는 신호.
- 특히 소양인 체질에 많은 유형.
이은미한의원 원장 이은미 한의학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