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지뽕은 한국과 중국에서만 자생하는 낙엽 소교목으로 주로 한국의 민간요법에서 부인병, 이뇨, 진해, 자궁암, 자궁근종, 각종 암, 당뇨병 및 신장기능 강화에 이용되어 왔다.
고성군에서 처음으로 재배된 꾸지뽕 잎은 녹차잎, 일반뽕잎 및 국내 타지역에서 생산된 꾸지뽕 잎에 비하여 단백질, 식이섬유, 비타민 B1, 비타민 B2, 칼슘, 철, 칼륨, GABA 및 루틴과 같은 영양소 및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이 높아서 우수한 건강식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특히 고성산 꾸지뽕 잎과 열매의 생리활성을 시험관, 스트렙토조토신으로 유도된 당뇨쥐 및 D-갈락토스로 유도된 노화쥐 시험을 통하여 측정한 결과 높은 항산화, 혈당조절 및 노화억제 활성을 보였다.
현재 이 연구 결과는 특허 등록되어 꾸지뽕 잎의 생리활성을 이용한 꾸지뽕잎 침출차 및 당뇨환자용 식품이 개발 중에 있으며, 또한 꾸지뽕나무를 FTA에 대비한 농가 소득 작목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꾸지뽕 잎과 열매의 생리활성 연구 및 이의 산업화를 위한 다양한 분야의 연구가 진행 중이다.
향후계획고성산 꾸지뽕나무 잎과 열매의 다양한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꾸지뽕나무의 기능성을 이용한 차, 엑기스, 환, 마스크팩, 비누, 샴푸, 국수류, 쌀 등 웰빙 기능성 식품을 고성군 특화상품으로 육성하여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확대 할 계획이다.
출처: 한국식품연구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