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발발 전해인 1591년 제작된 총통 유물이 청계천 복원 과정에서 나온 유물 더미에서 발견됐다.
서울역사박물관(관장 김우림)은 청계천 복원 공사 중 수습한 오간수문 철책 부재 100여 점을 보존처리하는 과정에서 '만력 19년(1591) 3월'(萬歷十九年三月)에 제작했다는 명문을 새긴 총통 유물을 찾아냈다고 1일 밝혔다.
박물관은 "청동으로 된 이 총통 유물은 18개월간 보존처리를 거쳐 음각된 명문들을 모두 표출한 결과 임진왜란 발발 직전에 제작된, 지금까지 알려진 바가 전혀 없는 새로운 형태의 총통임을 밝혀냈다"고 덧붙였다.
보존처리 결과 이 총통은 단면 팔각형이며 약실(화약을 넣는 곳)에 가늠쇠 1개가 달렸고 아래 총신 끝 부위에 나무자루에 끼워 고정시키는 거치대 1개가 있다.
약실에는 심지를 끼우는 약선혈이 있고 병부(자루 부분)에는 음각으로 4면에 걸쳐 '萬歷十九年三月 日 / 別造重十七斤六兩 / 匠●己 / 中丸一小丸二十'으로 판독되는 글자가 확인됐다. (/는 줄 바뀜. ●는 글자는 확인되나 컴퓨터로 지원이 되지 않는 글자)
박물관은 이를 판독하면 '만력 19년명(銘) 별총통'은 1591년 3월에 제조된 개량화한 총통임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일부가 파손된 총통은 현존 길이 약 74.2cm지만 명문 내용과 현재 크기를 고려할 때 제작 당시 원래 크기는 약 1m20cm에 가까웠을 것으로 박물관은 추정했다.
박물관 측은 이 총통이 지닌 가장 큰 특징은 "총신이 길어지고 약실이 넓어짐에 따라 강력해진 폭발력으로부터 총신을 보호하고자 팔각형의 단면을 선택했다는 점"이라고 밝혔다.
현재까지 알려진 조선시대 총통 중 유일하게 단면 팔각형인 이 유물은 향후 조선중기 화기기술 발달사를 연구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박물관은 덧붙였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