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생명, 대한생명, 교보생명 등 이른바 '빅3' 생명보험업체들의 민원 합의율이 갈수록 낮아지고 있어 보험 소비자들들이 막대한 피해를 입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3개사는 소비자가 제기한 보험금 지급 민원에대해 한국소비자원이 지급 권고를 내렸는데도 상대적으로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는 것.
한국소비자원은 18일 전체 생명보험사(22개)를 상대로 2005∼2007년 소비자원에 접수된 생명보험 관련 피해구제건 가운데 보험사가 보험금을 실제 지급한 비율(합의율)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국내 최대 생보사인 삼성생명의 합의율이 최저 수준을 보여 눈길을 끌었다. 작년의 경우 삼성생명 상대 피해구제 신청 소비자 10명중 1.7명만이 보험금을 지급받았다. 삼성생명의 합의률은 2005년 62건의 피해구제건중 26건의 배상, 환급, 계약 이행, 계약 해지 등이 이루어져 합의률이 41.9%였으나 2006년에는 22.9%, 2007년에는 17.1%로 떨어졌다. 이는 생보업체 중 가장 낮은 수준의 합의율이다.
같은 기간 대한생명의 합의율은 53.3%, 40.0%, 37.7%로 점차 낮아졌고 교보생명은 54.2%, 30.2%, 37.3%의 추세를 보였다. 이들 3개 회사는 생보업계의 빅3로 꼽히는 대형 업체들이지만 합의율은 군소 규모 보험사들보다 상대적으로 낮았다.
또 독일계 알리안츠생명은 60.0%, 50.0%, 34.6%, 미국계 AIG생명은 56.2%, 44.4%, 36.8%로 역시 감소 추세를 보였다.
특히 이들 중 삼성생명, 대한생명, 알리안츠생명 등 3개 사는 민원 건수가 매년 비슷하거나 증가하는 추세에 있는데도 보험금 합의율은 계속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흥국생명은 63.6%→45.8%→71.4%로 오히려 합의율이 높아졌고 신한생명(64.7%→70.0%→52.4%), 동양생명(73.7%→44.8%→65.1%)도 상대적으로 합의율이 높았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이들 3개 사는 다른 생보사들에 비해 보험금 지급 관련 분쟁이 생길 때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보험금을 지급 받는다는 의미"라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소비자원에 접수된 생명보험사 관련 피해구제건 1099건을 상대로 진행됐으며 3년간 평균 합의율은 50.88%였다.
보험금 타먹기 힘들더군요.
어떻게든 안주려고 귀찮게 하고 이거 가져와라 저거가져와라 병원에서도 찍혔던데요. 잘 안준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