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재건축 규제완화 약발 '보름천하'
상태바
재건축 규제완화 약발 '보름천하'
  • 뉴스관리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08.11.20 08: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재건축 용적률 상향과 소형의무비율 완화 등을 골자로 한 11.3 대책의 효과가 '보름 천하'로 끝났다.

대책 발표후 수천만원씩 호가가 오르고 일부 거래가 됐던 서울 강남권 주요 재건축 단지의 매매값이 지난 주부터 다시 대책 발표 이전 가격으로 떨어졌고 거래도 뚝 끊겼다.

재건축 규제완화라는 '재료'도 경제 위기와 집값 하락에 대한 불안감 앞에서 맥을 못추는 것이다.

20일 강남권 중개업소에 따르면 송파구 잠실 주공5단지는 최근들어 가격을 낮춘 급매물이 다시 나오면서 시세가 대책 발표 이전 수준으로 돌아섰다.

이 아파트 112㎡의 경우 대책 발표 후 9억5천만원까지 호가가 상승했지만 현재 8억5천만원짜리 매물이 나오고 있다. 대책 발표 직전인 10월말 시세(8억8천만-8억9천만원)에 비해 3천만-4천만원 가량 낮은 것이다.

또 대책 발표후 11억원을 호가했던 119㎡는 현재 10억3천만원으로 10월말 시세(10억5천만원)보다 2천만원 더 빠졌는데도 매물은 늘었다.

인근 중개업소 사장은 "재건축 대책 발표후 호가가 뛰자 고점에 팔려고 매도를 미뤘던 집주인들이 거래가 안되자 호가를 더 낮춰 내놓고 있다"며 "실물경기 침체, 건설사 부도 등으로 경제가 어수선하니까 이제는 집값이 더 떨어질까봐 매도자들이 불안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동구 고덕 시영 43㎡도 11.3대책 이전 3억2천만원이던 것이 3억4천만-3억5천만원으로 올랐다가 최근 다시 3억2천만-3천만원으로 내려왔다.

고덕 시영의 한 중개업소 사장은 "재건축 규제 완화에다 투기지역까지 해제되면서 거래의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했는데 하루이틀 '반짝'하고 말았다"며 "집값이 더 빠질 것으로 보고 매수자들이 초급매물도 사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번 재건축 규제 완화의 최대 수혜 아파트중 하나로 꼽혀온 강남 대치동 은마아파트 역시 112㎡의 경우 대책이 나온 뒤 10억3천만원을 호가했으나 지금은 9억2천만원에도 살 사람이 없다.

강남구 개포 주공1단지도 마찬가지. 43㎡의 경우 대책 발표후 6억6천만-6억7천만원까지 올랐지만 현재 10월말 시세와 엇비슷한 6억1천만원으로, 56㎡는 재건축 기대감에 9억7천만-9억8천만원으로 상승했다가 다시 9억1천만원으로 각각 내렸다.

이 때문에 대책 발표후 재건축 가격이 하락세를 멈출 것으로 기대해 집을 샀던 계약자들은 실망감을 감추치 못하고 있다.

대치동의 한 중개업소 사장은 "당시 급매물이라고 샀다가 집값이 그 가격보다 더 떨어지니까 후회하는 모습이 역력하다"며 "계약금을 포기할 수도 없고 없고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고 말했다.

해약 등의 부작용을 막기 위해 잔금 납부일을 당기는 곳이 많다.

송파구 잠실동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집값이 주식처럼 단기 재료와 악재에 따라 요동치면서 분쟁의 소지 때문에 계약기간을 길게 갈 수가 없다"며 "평소 40일 안팎이던 잔금일자를 요즘은 일주일, 빠르면 2-3일내로 앞당기기도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재건축 약세가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스피드뱅크 박원갑 연구소장은 "경제 위기감이 커지면서 정부의 정책 변수가 약발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며 "연말 이후 본격적으로 기업체 감원과 임금 삭감 등 구조조정 한파가 예고돼 있어 한동안 집값이 오르기는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연합뉴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