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가만드는신문=정수연 기자]삼성전자가 내년에 세계 휴대전화 시장 점유율 20%에 도전한다.
또 차세대 공정기술 도입을 서둘러 D램과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시장에서의 지배력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삼성전자 IR팀장인 주우식 부사장은 8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제4회 삼성테크포럼'에서 "내년 세계 휴대전화 시장 전망이 밝진 않지만 오히려 이를 기회로 삼아 시장점유율 20% 이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올해 3분기말 현재 세계 휴대전화 시장에서 노키아(38.9%)에 이어 17.1%의 점유율로 2등을 달리고 있다.
삼성전자는 선진시장과 신흥시장에서 각각 '하이엔드(High-end,고가)'와 '로우엔드(low-end,저가)' 전략으로, 미국과 유럽 등 선진시장에서는 통신사업자와의 관계를 더욱 돈독히 해 스마트폰으로 시장을 적극 공략할 방침이다.
주 부사장은 "특히 내년 20%대의 성장이 예상되는 스마트폰 시장을 겨냥, 20여개의 신제품을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신흥시장에서는 기능 단순화와 부품 공용화를 통해 비용을 대폭 절감한 로우엔드 신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다.
이같은 '하이-로우' 전략을 통해 삼성전자는 시장 침체에도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휴대전화 사업의 영업이익률을 10%대로 유지해 나갈 방침이다.
삼성전자는 50나노와 40나노급 공정으로 생산중인 D램과 낸드플래시를 내년에는 각각 40나노와 30나노급 공정으로 한 세대 더 진화시켜, 원가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주 부사장은 "앞으로도 필요한 부문의 메모리 설비투자는 꾸준히 유지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현재 20%대인 경쟁사와의 격차를 더 벌릴 것"이라고 말했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