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탕에 중독성이 있다는 사실이 과학적 증거로 입증돼 화제다.
미국 프린스턴 대학 심리학교수 바트 회벨 박사가 설탕이 습관성 약물이 일으키는 것과 유사한 행동변화와 신경화학적 변화를 가져온다는 사실이 쥐 실험을 통해 확인했다고 연합뉴스가 로이터 통신을 인용 보도했다.
회벨 박사는 쥐들에게 매일 자고난 후 4시간 동안 아침먹이를 주지 않다가 설탕물을 먹이는 실험을 3주간 계속했다. 그 결과 동기와 보상에 관여하는 뇌부위인 측중격핵(accumbens nucleus)에서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 분비가 급증했다는 것.
그는 "습관성 약물이 도파민 분비를 증가시킨다는 오래전부터 알려진 사실"이라면서 "이 결과는 설탕도 습관성 약물과 비슷한 작용을 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를 일으키는 것은 설탕 자체라기 보다 설탕을 갈망하는 심리상태인 것으로 생각된다고 회벨 박사는 말했다.
설탕물을 끊자 쥐들은 중독의 중요한 요소인 금단현상과 설탕물에 대한 갈망을 나타냈고 이 현상은 상당히 오래 지속되었다.
몇 주 동안 설탕물을 주지 않다가 이 쥐들에게 설탕물 대신 알코올을 주자 보통쥐들에 비해 많은 양을 마셨으다. 또 중추신경흥분제인 암페타민을 전혀 무해한 극소량 투여했을 때도 과잉행동 징후를 나타냈다.
이는 약물중독과 같은 약물남용장애와 자연물질인 설탕에 대한 비정상적인 갈망 사이에 연관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로이터가 회벨 박사의 말을 인용 보도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