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로 영유아들에게서 전염이 되는 미국과는 달리 청장년 직장인을 중심으로 감염자와의 접촉이 많고 조개류를 섭취하는 사람일수록 A형간염 감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모란 을지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최근 `한국의 A형간염 위험요인과 수학적 모형, 경제성 평가'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A형간염 발생은 2002년 인구 10만명당 15.3명에서 2008년에는 62.4명으로 급증했다고 21일 밝혔다.
인구수에 대입하면 국내엔 3만명의 A형간염 환자가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한국 보다 인구가 5배 많은 미국 내 A형간염 환자 2만5천명보다도 훨씬 많다.
작년 4∼8월 전국 11개 병원에서 547쌍의 A형간염 환자군과 비환자군을 견줘 A형간염 발생의 위험요인을 분석한 결과 조개를 날로 섭취한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A형간염에 걸릴 확률이 2배나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A형간염 보균자인 가족을 둔 사람과 주위에서 A형간염 환자와 접촉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A형간염에 걸릴 확률이 각각 9.8배, 3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A형간염의 위험요인은 직장인이거나 감염자와 접촉 여부, 날 조개류 섭취 여부다.
A형간염 발생률을 조기에 낮추면서도 경제성 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인 전략으로 매년 1세 영아들을 90% 예방접종하고 2010년에 19∼39세 성인을 대상으로 50% 예방접종을 시행해 일시에 집단면역 수준을 높이는 방안이 제시됐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