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합성첨가물을 배제하고 천연원료를 사용한 '녹색식품 인증제'를 올해 안으로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3일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소비자 90% 이상이 천연원료를 사용한 녹색식품을 선호하고 있어 ‘녹색식품 인증제’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녹색식품 인증제란 화학적합성품 등의 사용을 줄이고 식품원료 등 천연식품 사용을 권장하기 위해 합성첨가물을 사용하지 않은 식품을 인증하는 제도다.
이 같은 정책방향은 식약청이 보건산업진흥원과 지난해 상반기 서울 등 수도권에 거주하는 30~50대 주부 500명을 대상으로 ‘합성첨가물 사용에 대한 소비자 인식도’ 조사 결과에 따른 것이다.
식약청에 따르면 응답자 92%는 ‘녹색식품 인증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답했고, 76%는 ‘녹색식품’이 타 제품보다 비싸더라도 구매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제품을 구입할 때 가장 고려하는 사항으로 응답자 52%가 ‘안전성’을 꼽았으며, 37%는 ‘식품첨가물 사용여부’를 가장 확인하고 싶어했다. 또 제품에 표시된 식품첨가물의 정보는 약 57%의 답변자가 ‘불충분하다’고 답변했는데, 그 이유가 ‘표시사항이 너무 많고 일일이 확인하기 어려워서(42%)’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합성첨가물 등 무첨가’ 표시를 강조한 3개 제품이 시중에 유통되고 있지만 응답자 46%는 '이를 신뢰하고 있지 않는다'며 객관적으로 검증된 별도의 표시제도나 인증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한편 국회에서도 '녹색식품 인증제'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국회 보건복지가족위 소속 안홍준 의원(한나라당)은 지난해 7월 녹색식품 인증.표시제도 도입을 골자로 한 '식품위생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개정안은 식약청장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제품을 녹색식품으로 인증해 제품에 표시하고, 녹색식품 인증제도를 위반하거나 주문자상표방식 위생점검 미실시 등에 대해 행정처분을 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했으나 현재 계류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