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에든버러 대학의 제럴드 폭스(Gerald Fowkes) 박사는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은 있지만 뚜렷한 증상은 없는 사람이 예방차원에서 저단위 아스피린을 장기복용하는 것은 아스피린의 부작용인 위궤양과 위장출혈 위험만 높아질 뿐 예방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힌 것으로 영국의 일간 데일리 메일 인터넷판 등이 3일 보도했다.
폭스 박사는 발목-상완혈압지수(ankle brachial index)가 낮아 말초동맥질환 위험이 있지만 증상은 나타나지 않고 있는 3천350명을 대상으로 저단위 아스피린(100mg) 또는 위약을 투여하고 8년 동안 관찰한 결과 심혈관질환 발생률이 아스피린 그룹이 10.8%(181명), 대조군이 10.5%(176명)로 차이가 없었다고 밝혔다.
반면 위장출혈이 나타난 사람은 아스피린 그룹이 34명으로 대조군의 20명보다 훨씬 많았고 위궤양이 발생한 사람도 14대 8로 아스피린 그룹이 많았다.
발목-상완혈압지수란 발목 동맥압을 상완 동맥압으로 나눈 값으로 0.9이하이면 발목이나 신체 다른 부위에서 말초동맥질환이 나타날 위험이 높아진다.
이 연구결과는 단순히 심혈관질환 예방 목적으로 저단위 아스피린을 오래 복용하는 것은 득이 없고 실만 크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폭스 박사는 지적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의사협회 저널(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최신호에 발표되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