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가만드는신문=차정원 기자] 규모가 있는 사설 학원들은 등록금에 자체적으로 출판한 수업용 교재비를 포함시켜 받고 있다. 이렇게 내부용으로 ‘끼워파는’ 책들 대부분이 교재로써 사용 할 수 없을 정도로 허술하게 제작되고 있어 이를 사전에 검열. 제재를 가할 제도 마련이 시급하다.
광주시 치평동의 양 모(남.52세)씨는 아파트 관리소장으로 취직하기 위해 주택관리사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중순 공부를 시작한 양 씨는 집에서도 편하게 강의를 들을 수 있는 온라인 수업을 검색하던 중 합격자 수기가 가장 괜찮아 보이는 G학원 사이트에 80만원 상당을 지불하고 1년간 등록했다. 학원비에는 교재비와 1년 뒤 5만원에 재등록할 수 있는 혜택이 포함됐다.
하지만 학원에서 제공한 교재들은 엉성하기 짝이 없었다. 하나 둘씩 발견되기 시작한 오탈자가 교재를 다 읽지도 않은 시점인 1월 중순에 100여개가 훌쩍 넘어 버린 것.
1월 20일 업체에 항의하자 “일주일 후 정오표를 공시하겠다”고 했지만 2월까지 아무런 소식이 없었다.
2월 10일 다시 항의하니 “그때 전화 받은 직원이 미숙해서 잘 처리를 못했다”며 “일주일 후 다시 올리겠다”고 둘러댔다.
결국 기다리던 정오표는 양 씨가 항의 한 후 한 달 반이 지난 3월 3일에야 볼 수 있었다. 하지만 그나마 십여 개의 오탈자만 수정한 것에 불과했다.
양 씨는 “수험생에게 기준을 제시해야할 교재들이 이렇게 허술하다면 어떻게 믿고 공부 할 수 있겠냐”며 “행여 문제 해답마저 틀렸을지도 모르는데, 배우는 입장에서 분별할 능력이 없어 제대로 공부할 수조차 없다”고 탄식했다.
이에 대해 G학원 관계자는 “교재 편집은 담당 교수에 일임하고 있다”며 “수많은 교재를 학원에서 일일이 검토하기가 어려워 문제가 생긴 것 같다”고 해명했다. 이어 “과목을 담당한 교수가 일정이 바빠 처리가 지연됐다. 양 씨가 지적한 오탈자를 포함해 해당 교재를 꼼꼼히 검토한 후 정오표를 빠른 시일 내에 공시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4일 양 씨는 “이미 엉터리 교재로 3개월을 공부했다”며 “소 잃고 외양간 고치고 있다”고 분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