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자본금 3억 미만 영세 상조업체 '퇴출'
상태바
자본금 3억 미만 영세 상조업체 '퇴출'
  • 임민희 기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10.03.08 15: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내년 3월부터 자본금 3억원 미만의 영세 상조업체의 영업이 전면 금지된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상조업 등록제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골자로 한 할부거래법 개정법 공포안이 9일 국무회의에서 처리될 예정이라고 8일 밝혔다.

공포안에 따르면 올해 9월부터 자본금이 3억원 이상인 상조업체만 시.도에 등록한 뒤 영업할 수 있게 된다. 등록제가 실시될 경우 최소한의 자기자본도 없이 영업하고 있는 부실사업체들이 정리되거나 퇴출될 것으로 보인다.

공정위는 지난 2008년말 기준 전국 281개의 상조업체 가운데 자본금 1억원 미만의 상조업체는 62.6%(176개)나 됐다고 밝혔다. 자본금이 3억원 이상인 업체는 13.2%(37개)에 불과했다.

상조업체들은 소비자들이 가입에 앞서 상조업체의 건전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자산과 부채 등 재무상태와 법 위반사실 등 사업자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

상조업체의 부도나 폐업시 고객 보호를 위한 선수금 보전제도 실시된다. 이에 따라 상조업체들은 소비자로부터 받은 돈의 50%를 금융기관에 예치하거나, 지급보증.보험.공제에 가입해야 한다.

소비자는 계약일로부터 14일 이내에는 위약금 없이 언제든지 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 상조업체는 고객이 청약을 철회할 경우 3영업일 이내에 대금을 환급해야 한다.

할부거래법을 위반한 상조업체 사업주는 처벌수준에 따라 3~5년간 영업을 할 수 없게 된다.

상조업 외의 신용카드 할부거래에서도 소비자의 권한 보호가 확대된다.

할부거래에서 분쟁 발생시 할부판매업자와 신용카드사들이 일방적으로 해당 소비자를 채무불이행자로 등록하는 등 신용상 불이익을 주는 행위가 금지된다. 할부대금채권에 대한 소멸시효는 3년으로 확정된다.

공정위는 이번 개정법이 시행될 때까지 과도기 상황에서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이달부터 전체 상조업체를 대상으로 재무상태 파악해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