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한 사람은 전립선암 검사를 받아도 제대로 발견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박진호, 조비룡 교수팀과 강남센터 이철민, 권혁태 교수팀은 전립선암표지자 검사(이하 PSA검사)를 받은 3만8천380명의 데이터를 분석해 이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29일 밝혔다.
이에 따르면 PSA 검사 결과 수치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비만도를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SA는 전립선암 가능성이 큰 사람에게만 특이적으로 나타나는 물질로, 이 수치를 보면 전립선암 여부를 추정할 수 있다. PSA 수치가 3.0ng/㎖ 이상이면 전립선암 고위험군으로 본다.
연구팀은 비만도를 판정하는데 가장 많이 쓰이는 체질량지수(BMI.체중을 키의 제곱으로 나눈 수치)를 기준으로 했을 때 체질량지수 23미만인 정상체중 그룹의 PSA 평균치는 0.89ng/㎖였지만, 비만그룹(체질량지수 25-30)은 0.83ng/㎖, 고도비만 그룹(체질량지수 30이상)은 0.73ng/㎖로 집계됐다고 설명했다.
즉, 비만인 남성일수록 PSA 수치가 낮은 셈이다.
연구팀은 "이 같은 통계치를 비만인 사람의 경우 조기전립선암이 있어도 PSA 수치가 정상체중인 사람만큼 높아지지 않기 때문에 검사결과가 정상이라고 해서 안심할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또한 일반적으로 PSA수치는 전립선의 크기에 비례하는데, 전립선의 크기를 고려하면 PSA 수치로 드러나지 않는 전립선암의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이번 연구에서 전립선 초음파 검사를 받았던 3천593명을 전립선 크기를 기준으로 4개의 그룹으로 나눠 비교한 결과 △전립선의 크기가 가장 작은 그룹에 속하면서 고도비만 그룹의 PSA평균은 0.55ng/㎖ △전립선의 크기가 가장 큰 그룹에 속하면서 정상체중 그룹의 PSA평균은 1.42ng/㎖로 분석됐다.
PSA수치 평균이 비만 정도와 전립선 크기에 따라 거의 3배 차이가 나는 셈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를 볼 때 고도비만이거나 전립선의 크기가 작은 사람들은 PSA 검사에서 발견되지 않는 전립선암을 가질 가능성이 높은 만큼 PSA검사의 해석에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