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수지는 외국계은행 국내지점의 차입 증가와 외국인의 국내 주식투자 확대 등에 힘입어 순유입 규모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4월 중 국제수지 동향(잠정)'에 따르면 지난달 경상수지는 14억9천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경상수지는 지난 2월 1억7천만달러 흑자를 기록하면서 흑자로 돌아선 이후 석달 째 흑자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경상흑자 규모는 전월의 18억달러에 비해 3억1천만달러 줄어들었다.
경상수지가 흑자 기조를 유지한 것은 상품수지가 반도체와 승용차, 석유제품 등의 수출 호조로 큰 폭의 흑자를 냈기 때문이다.
지난달 상품수지 흑자는 51억9천만달러로 전월보다 6억9천만달러 확대됐다.
수출은 405억2천만달러로 전월보다 9억6천만달러 증가했으며 수입은 353억3천만달러로 2억7천만달러 늘었다.
수출은 2008년 7월의 422억4천만달러 이후 최대 규모이며, 수입은 2008년 10월의 359억2천만달러 이후 최대치이다. 작년 동기 대비로는 수출이 34.0% 증가했으며 수입은 46.4% 증가했다.
서비스수지는 특허권 등 사용료 지급 감소로 적자규모가 전월의 21억달러에서 18억5천만달러로 줄었다.
반면 소득수지의 경우 대외배당금 지급이 대폭 늘어나 적자규모가 전월의 2억6천만달러에서 13억8천만달러로 확대되면서 경상흑자 감소 요인으로 작용했다. 적자 규모가 2008년 4월의 19억1천만달러 이후 2년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경상이전수지도 송금 지급이 늘어나면서 적자규모가 전월보다 1억2천만달러 늘어난 4억7천만달러에 달했다.
이영복 한은 국제수지팀장은 "12월 결산법인의 배당금 지급이 마무리되면서 소득수지가 흑자로 돌아설 가능성이 크고 상품수지 호조세도 지속될 것으로 보여 5월 경상흑자 규모는 연중 최대치인 25억달러 안팎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달 자본수지는 88억5천만달러 순유입을 기록했다. 순유입 규모가 전월보다 73억3천만달러 급증하면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증권투자가 외국인의 국내 주식 및 채권투자를 중심으로 55억3천만달러의 순유입을 나타낸 데 힘입은 것이다.
지난달 외국인의 국내 주식 투자자금은 49억6천만달러 순유입되면서 순유입 규모가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기타투자도 전 월중 순상환됐던 은행 차입금의 증가 등 영향으로 전월의 61억1천만달러 순유출에서 49억1천만달러 순유입으로 전환됐다.
이에 반해 직접투자는 해외직접투자의 증가로 순유출 규모가 전월의 2억달러에서 12억2천만달러로 확대됐다.
파생금융상품은 전월의 1억달러 순유입에서 2억5천만달러 순유출로 돌아섰다.
이 팀장은 "지난달 외은지점이 단기 차입을 많이 늘리면서 자본수지 순유입 확대에 영향을 미쳤으며, 일부 외은지점은 단기 차입을 해 채권 투자를 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달에는 외국인의 채권 투자자금 순유입이 지속되고 있지만, 주식 투자자금이 많이 유출되고 있어 지난달과 다른 양상을 보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