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청은 올 1월부터 3월까지 무허가 의약품의 불법유통 등 총 72건을 적발해 행정조치를 취했다고 밝혔다.
식약청은 의약품 제조(수입) 및 판매업체에 대한 약사감시를 실시해 인터넷상에서 유통되고 있는 무허가 불법 의약품 유통행위, 의약품 품질점검, 회수대상의약품 회수이행실태 등을 점검했다. 특히 인터넷상에서 비아그라, 시알리스 등 오남용 우려 의약품과 국내에서 허가되지 않은 무허가 부정⋅불량의약품 유통행위에 대한 집중적인 단속 결과 57건이 적발됐다.
이처럼 무허가 부정⋅불량의약품 판매처 대부분은 해외에 서버를 두고 있는 외국 사이트로 확인됐다. 이들 판매처는 국내 소비자가 접속해 의약품을 구매할 경우 국제우편을 통해 국내로 배송했다.
식약청은 이들 불법 인터넷 사이트와 관련해 수사의뢰 및 방송통신위원회에 사이트 폐쇄를 요청했다. 또 의약품 품질 및 유통에 대한 점검을 실시해 원료에 대한 순도시험을 실시하지 않는 등 의약품 품질관리에 소홀한 제조 및 수입 5개 업체에 대해 행정처분을 내렸다.
이밖에 약사법령에서 정하고 있는 의약품의 바코드를 부착하지 않거나 허가받은 장소가 아닌 곳에 의약품을 보관하다 적발된 도매상 등 10개 업체에 대해도 행정조치를 취했다. 품질 부적합으로 회수 조치된 의약품의 회수 이행 실태 점검을 실시해, 회수조치가 미흡한 제조업체 3개사와 회수대상 품목을 판매한 의약품도매상 4개사를 적발했다.
식약청 관계자는 "인터넷 등을 통한 무허가 부정⋅불량의약품의 유통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 및 과대광고가 지속적으로 반복되고 있다. 지난 4월 위해사범중앙조사단에 신설된 '사이버수사팀'과 연계해 사이버상의 불법 부정⋅불량의약품 근절에 철저를 기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