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년간 물가가 급등했지만 전세가격 상승률은 물가에 비해 2.4배나 더 가파르게 오른 것으로 나타나 서민 주거 안정에 비상등이 켜졌다.
이같은 전세가격 상승분은 향후 수년간 소비자물가에 반영, 부머랭이 되어 돌아오는 만큼 물가 불안이 장기화하고 가계 소비가 위축될 수 있어 보금자리주택의 임대주택 전환 등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14일 국민은행 '전국 주택가격 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는 117.4로 전년동기(2010년 2월)보다 10.9%나 급등, 전년 2월 대비 1년간 상승률로서는 2002년 이후 9년만에 최고 수준을 나타냈으며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 4.5%에 비해서는 2.4배를 넘었다.
이에 따라 최근 전세가격 상승폭이 향후 1∼2년새 소비자물가에 대부분 반영되면서 향후 물가 불안을 부추길 것으로 우려된다.
소비자물가에서 집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10%에 달하고 있으며 전세는 6.6%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주택가격동향조사의 전세가격이 많이 뛰었다면 2년 정도 거치면서 순차적으로 소비자물가에 반영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전세가격을 낮추기 위해서는 미분양 아파트를 전세물량으로 돌리거나 보금자리 주택을 임대로 돌리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며 "동시다발적인 주택 재개발 사업을 단계적으로 이뤄지도록 해 재개발 지역 주민들의 전세 수요를 분산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biz&ceo뉴스/소비자가 만드는 신문=류세나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