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그룹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현대상선은 25일 주주총회에서 정관 7조 2항 '우선주식의 수와 내용' 항목에서 우선주 발행한도를 현행 2천만주에서 8천만주로 늘리는 변경안을 상정할 예정"이라며 "이 안건과 관련해 현대상선 지분 23.8%를 보유한 주요주주인 현대중공업그룹이 미리 반대 의사를 현대상선 측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현대상선 측은 "현대중공업그룹이 지난해 말 현대상선 유상증자에 불참하면서 더는 경영권에 관심이 없는 것처럼 알려졌는데 이번 정관 변경에 반대하는 것을 보면 현대상선 경영권에 미련을 버리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꼬집었다.
현대그룹은 "현대차그룹이 현대건설이 보유한 현대상선 지분 7.8%를 현대중공업그룹 또는 현대중공업그룹의 우호 세력에 매각하거나 현대중공업그룹과 연대해 의결권을 행사한다면 현대상선 경영권은 중대한 위협을 받아 경영권 분쟁에 휘말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대그룹은 이어 “현대상선이 채권단으로부터 재무구조개선약정 체결 압박을 받음과 동시에 범현대가에 포위된 채 경영권 위협까지 받는다면 세계적 선사로 도약하려는 현대상선의 성장 포기를 강요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강조했다.
현대그룹은 "범현대가와 진정한 화해가 절실히 요청되는 시점"이라며 "화해 의지가 확고하다면 현대중공업그룹은 이번 우선주 발행한도 정관 변경에 찬성하고 현대차그룹은 현대건설의 현대상선 지분 7.8%를 조속히 현대그룹에 넘겨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현대중공업그룹 측은 "우선주 발행한도 확대가 주주가치를 훼손할 우려가 있어 반대 의견을 낸 것으로 알고 있다"며 "보통주 발행한도가 1억2천만주나 남았다는데 굳이 우선주를 발행하려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반박했다.
[biz&ceo뉴스/소비자가 만드는 신문=류세나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