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자원연구원 지헌철 박사는 23일 ‘한반도 지진과 원자력 안전’ 포럼에서 “한반도의 역사적 지진 기록이나 지체 구조 등으로 미루어 볼 때 규모 6.5 이상의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주장했다. 반면 7.0 이상의 강진발생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전망했다.
발표에 따르면 한반도는 현재 인도양 판이 유라시아 판을 미는 힘과 태평양 판이 유라시아, 필리핀 판을 미는 힘을 동서 방향으로 동시에 받고 있다.
중국 탄루 단층대와 일본 열도 지각에서 지진의 형태로 에너지가 분출돼 한반도에 미치는 힘은 줄어들었지만 역사적 기록에 의거해 지진 발생 가능성의 여지를 남겨둔 것으로 설명했다.
특히 지헌철 박사는 강원도 평강군과 함경남도 안변군 사이에 위치한 추가령 지구대와 충청북도 옥천, 경상남도 양산 부근 등이 지진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지목했다. (사진 = 연합뉴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