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고엽제 살포 민간인 동원 증언 "후유증 피해 보상 안돼.."
상태바
고엽제 살포 민간인 동원 증언 "후유증 피해 보상 안돼.."
  • 온라인 뉴스팀 csnews@csnews.co.kr
  • 승인 2011.05.26 17: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비무장지대(DMZ) 고엽제 살포에 민간인이 동원됐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강원 철원군 생창리에 사는 권모(73)씨는 "1960년대 말부터 70년대 초까지 마을 주민들이 DMZ 내 고엽제 살포 작업에 동원됐다"고 밝혔다.


권씨는 고엽제를 살포한 후유증으로 천식을 앓고 있으며 국가에 고엽제 피해에 대한 피해보상을 신청했지만 아직까지 보상을 받지 못한 것으로 녹색연합은 전했다.


이와 관련해 한 매체는 그 당시 살고 있었던 지역주민들의 말을 인용해 “고엽제인 줄도 모르고 직접 손으로 약을 풀어 분무기를 가지고 뿌렸다”고 보도했다.


78년은 고엽제 문제가 국제적 이슈로 부각되던 시기로, 칠곡의 미군기지에 고엽제가 매립됐던 시점과 일치한다.


녹색연합은 "미국에서는 유독물질의 불법매립이 대단히 중요한 사회이슈로 떠오른 해였습니다. 따라서 고엽제를 미국으로 반출하기도, 보관하기도 힘들었던 주한미군이 기지내에 불법매립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60년대 말 비무장지대에 뿌려졌던 고엽제 양도 당초 우리 국방부가 발표했던 것보다 40여 배나 많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정부는 화학물질 매립의혹이 제기된 부천의 미군기지터에 대해 현장조사를 시작하는 한편, 칠곡 미군 기지의 고엽제 매립 의혹과 관련해 주한미군 측과 한미 공동조사단 구성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사진=SBS 방송 캡처)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