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중용된 TK계가 금감원 위상 흔드네
상태바
중용된 TK계가 금감원 위상 흔드네
  • 임민희 기자 bravo21@csnews.co.kr
  • 승인 2011.05.30 09: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축은행 부실․비리사건과 관련, 금융당국과 저축은행간의 검은 커넥션 실체가 속속 드러나는 가운데 최근 금융감독원(원장 권혁세) 현직 임원이 저축은행 관련 로비 연루의혹에 휘말려 파장이 일고 있다.

특히 이 임원은 지난해 금감원 부원장보 승진 당시 TK(대구 경북)출신 발탁인사라는 지적까지 받은 바 있어 향후 금융당국 인사관행에 획기적인 쇄신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30일 금융계에 따르면 김장호 금감원 부원장보(저축은행 등 중소서민금융담당임원)가 삼화저축은행으로부터 수천만원의 금품수수 의혹을 받고 있는 가운데 금감원의 인사관행이 비판의 도마위에 오르고 있다. 물론 김씨는 금품수수 혐의에 대해 전면 부인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지만 파장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특히 지난해 금감원 임원인사 때 전문성 논란에도 불구, 당시 총무국장이던 김장호 씨를 부원장보로 승진시켜 그를 저축은행을 관장하는 중소서민금융담당 임원으로 발령낸 김종창 전 금융감독원장도 이번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권혁세 현 금감원장 역시 최근 인사에서 '조직쇄신'을 위해 저축은행 업무를 맡았던 국장급 2명에겐 모두 징계성 인사를 내린데 반해 정작 담당 임원인 김 부원장보에 대해선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아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지적을 받았었다.

이처럼 최근 김씨를 둘러싼 삼화저축은행 비리연루의혹이 불거지면서 김씨를 중용했거나 최근 인사때 김씨에 대해 적절한 인사조치를 하지 않았던 전현직 금감원 수장들에 대해서도 곱지 않은 시선이 쏠리고 있는 것이다.

참고로 김종창 전금감원장과 권혁세 현금감원장, 그리고 김장호 부원장보는 모두 TK출신이다.

한편 김 장호씨에 대한 뇌물수수 의혹은 수백억원의 불법․부실대출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 구속기소된 신삼길 삼화저축은행 명예회장이 최근 검사 무마 대가로 김 부원장보에게 금품을 건넸다는 진술을 하면서 불거졌다.

서울중앙지검은 신 회장이 2000년대 초반 저축은행 검사 담당 국장을 지낸 김 씨에게 여러 차례에 걸쳐 수백만원~1천500만원을 줬다는 진술에 따라 조만간 김 씨를 소환해 조사할 방침이다. 이런 가운데 금융권 일각에서는 이번 김장호 씨 사태를 계기로 금융당국 인사 관행에 큰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높다.

무엇보다 김종창 전 원장에 이어 권혁세 현 원장 등 금융당국 수장과 책임실무자들의 상당수가 TK 출신들이라는 점에서 능력보다는 '특정지역 출신' 등을 우선 고려하는 인사 관행을 시급히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지난해 중소서민담당 부원장보 인사시 당시 임기만료된 양성용 부원장보 후임으로 김장호 씨와 신응호 기업금융개선국장(충북 청원)이 복수 후보로 추천됐으나 결국 TK계인 김 씨가 부원장보로 발탁됐다.

김 부원장보는 경북고, 영남대를 졸업하고 한국은행, 은행감독원을 거쳐 금감원 검사지원국 부국장, 비서실장, 총무국장 등을 역임했다.

당시 금융계에서는 금감원 비은행감독국 팀장, 은행검사2국 팀장 등 검사 경험과 구조조정 업무에 능통한 신응호 국장 대신 저축은행 감독업무에 별다른 경험이 없는 김 씨가 발탁된 배경에 이견이 분분했다. 신 국장은 7개월 후인 올해 4월 은행·저축은행 검사 담당 부원장보로 승진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검찰이 수사 중인 사안이어서 금감원이 공식적으로 입장을 밝히기는 어렵다"며 "검찰 수사 결과가 나오면 그 결과를 토대로 유죄면 김 부원장보를 인사조치하고 무죄일 경우 명예회손에 따른 법적대응 등을 선택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어쨌든 TK출신 원장에 의해 부원장보로 발탁된 임원이 비리혐의에 연루돼 파장이 일고 있는 것과 관련, 그간 누누이 지적됐던 특정지역 출신 특혜인사관행을 버리고 능력과 도덕성을 겸비한 인사를 우선 발탁하는 방향으로 재무장 해야 금감원이 신뢰를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향후 금감원장 인사를 할 때도 특정지역 출신을 연이어 앉히는 관행은 개선해야 할것으로 지적되고 있다.[마이경제 뉴스팀/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임민희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