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회장 이석채)는 일본 통신기업 소프트뱅크(회장 손정의)와 손잡고 현지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에 진출한다고 30일 밝혔다.
KT와 소프트뱅크는 각각 51%, 49% 지분을 보유한 합작회사를 오는 9월까지 설립하고 김해국제공항 인근에 일본 기업 전용 데이터센터를 구축, 해저 광케이블을 통해 안정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소프트뱅크를 통해 현지에서 판매되는 KT의 상품은 데스크톱 가상화(VDI)와 개인용 유-클라우드, 클라우드 백업 등이다.
이석채 KT 회장과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은 이날 일본 도쿄 시오도메(Shiodome) 합동 컨퍼런스에서 1천200여 개 기업과 한국·일본 언론사를 대상으로 이번 프로젝트의 추진배경 및 향후 계획 등을 설명했다.
KT 이 회장은 “이 프로젝트는 IT가 내수산업이라는 통념을 깨고 글로벌 진출의 초석을 마련한 첫 사례라는데 의미가 있다”며 “이를 발전시켜 한국을 글로벌 데이터 센터 허브로 발전시킬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두 회장은 지난 3월 일본에 대지진이 발생하자 일본에 안정적인 데이터센터 환경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고, 4월에 직접 만나 일본의 데이터센터 수요를 한국에 흡수하기로 합의했다.
합작사는 10월 말까지 김해에 개인PC 70만대 수준인 6천㎾ 규모의 센터를 구축하고, 2012년 상반기 중 추가로 이를 2만㎾ 규모로 증설할 계획이다. 김해 데이터센터가 완성되기 전까지는 서울 목동 데이터센터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KT는 2015년까지 서버관리 부분에서 약 1천억원, VDI 등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500억원 이상의 매출을 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KT는 앞으로 아시아 2천㎞ 반경 안의 15억 인구에 한국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해 '아시아의 클라우드 컴퓨팅 허브'로 발돋움하고 유럽 등 해외 사업자와 교류를 확대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