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달팽이밥이 도마에 오른 가운데 정부가 의무교육 수준의 지원을 해야 한다는 책임론이 대두되고 있다.
최근 잇따른 어린이집 급식에서 이물질이 발견되자 근본적인 대책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것.
최근 정부는 초등학교 입학 직전 1년으로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5살 어린이의 교육보육비 지원 대상을 모든 소득 계층으로 확대하겠다는 안을 내놨다.
정부 안에 따르면 만 5살 어린이 1명당 월 20만원을 지원받게 된다. 이후 2013년 22만원, 2013년 24만원, 2015년 27만원, 2016년 30만원 등 지원액은 점진적으로 인상된다.
그러나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등은 이번 기회에 보육비 지원 뿐 아니라 어린이집 교육과정에 대한 관리감독을 교과부로 일원화시키는 등 의무교육 수준의 책임을 요구하고 있다.
네티즌들은 "자기 자식이 저런걸 먹어봐야 정신 차릴 것", "정말 책임의식 없이 장사속만 가득하다", "정부의 관리감독이 시급하다", "자연주의 웰빙음식이라고 내놓는 것인가?" 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어린이집 달팽이밥은 석승호 이효정 등과 함께 실시간 검색어에 이날 오전부터 지금까지 이름을 올릴 정도로 네티즌들의 관심은 뜨겁다.
한편, 이 같은 지적의 발단이 된 어린이집 급식사고는 어제 오늘일이 아니다.
지난 14일 광구의 한 어리이집의 급식에서 밥에는 달팽이가, 국에는 거미가 발견됐다.
앞서 지난 2일에는 경기 수원의 한 사립중학교 급식 반찬으로 나온 열무김치에서 청개구리가 섞여 나와 학교 측이 김치 납품업체를 교체하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