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신간]승승장구 농심 위풍당당 삼양
상태바
[신간]승승장구 농심 위풍당당 삼양
  • 이호영 기자 eesoar@naver.com
  • 승인 2011.06.17 18: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간 소비량으로 치면 세계 6위지만 국민 1인당 소비량만 보면 한국은 라면 소비 세계 1위다.


50여년 한국의 라면 역사에서 시장 1, 2위를 달리고 있는 농심과 삼양식품. 이 두 기업의 설립 당시부터 현재, 그리고 미래 전략까지 담은 책이 발간됐다.


신간 '승승장구 농심 위풍당당 삼양'(머니플러스.김은국.전수영 지음)은 삼양 전중윤 회장의 '국내 식량 문제 해결'이라는 기업 설립 배경에서부터 '쥐우깡' 등 위기를 지혜롭게 넘겨온 농심의 성장 과정까지 라면과 라면업계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조망한다.


시장점유율 60%를 넘는 농심과 그 뒤를 바짝 추격하며 1위 탈환을 노리는 삼양. 이들 기업의 경쟁 덕분에 국민들은 제2의 주식으로 불리는 맛좋은 라면을 즐겨왔지만 두 기업의 실상은 라면 매니아들에게조차도 그다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책은 총 13장에 걸쳐 라면 제조기업으로서의 농심과 삼양을 가족경영이라는 지배구조까지 다루며 가감없이 보여준다. 


1장에서는 국내 라면의 원조격인 '삼양라면' 의 제조기업, 삼양의 전중윤 회장이 당시 국내에 만연한 꿀꿀이죽을 보고 식량문제 해결을 위해 절치부심한 얘기를 전한다. 일본을 수차례 드나든 끝에 전 회장이 국내 라면 생산의 꿈을 이룬 후 기업을 키운 과정도 만나볼 수 있다.


'정직'과 '신용'이라는 삼양의 기업가치 등 두 기업의 역사와 철학도 살펴보면서 이들 기업의 좌절과 위기, 그리고 극복담도 접할 수 있다. 


국민들로부터 사랑을 듬뿍 받고 있는 '신라면'의 농심도 평탄한 길만을 걸어온 것은 아니다. 특히 '애벌레 라면' 등 2008년부터 식품안전 관련 각종 이물질 문제로 곤욕을 치루며 위기에 직면했던 농심은 '식품안전 프로젝트' 등으로 소비자 클레임에 대응하기 시작했다. 그해 280여억원 2009년 120여억원 가량을 식품안전에 투자하면서 이미지 회복에 성공한 과정도  담겨있다.


크고 작은 시련 속에 성장한 두 기업이 최근 쌀라면 등 웰빙 추세를 반영하는 등 소비자 니즈에 민감하게 움직이고 있는 모습이나 미국 등 해외 시장에 진출하며 캐나다에서 '김치라면'으로 한류 열풍을 몰고온 소식도 전한다.


책 중반에서는 라면이라는 특성에 맞게 서민적이면서도  최고의 인기를 누리는 당대  최고 모델을 기용하는 라면 광고 얘기도 살짝 들춰본다. '매운 라면=신라면' 공식으로 매운 맛을 국민들에게 각인시킨 농심이 '라면은 신라면'이라는 메시지 전달에 성공한 과정이나 '맛있는 라면'으로 소비자를 사로잡기 위한 삼양의 광고 얘기를 읽는 재미도 쏠쏠하다.


10장과 11장에서는 전통음식의 재발견 등으로 미래 성장 동력을 찾는 라면업계의 부단한 움직임도 다룬다.


책 말미에는 녹차라면 야채면 등 건강과 다이어트 등을 놓고 농심 소비자들이 제안하는 라면 아이템도 수록하고 있다. (머니플러스/288쪽/값 1만4천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