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오픈 프라이스 도입 1년…소비자는 "헷갈려"
상태바
오픈 프라이스 도입 1년…소비자는 "헷갈려"
  • 김솔미기자 haimil87@csnews.co.kr
  • 승인 2011.06.27 08: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통업자간 경쟁을 유도해 가격인하를 유도한다는 오픈프라이스제 시행이후 오히려 가격이 오른 경우도 적지 않은데다 소비자들은 제도 취지를 잘 몰라 혼란을 겪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달 1일이면 생산자가 제품에 권장 소비자가격을 표시하지 않고 유통업자가 가격을 정하는 '오픈 프라이스' 제도가 라면과 과자, 아이스크림, 의류 등으로 확대 시행된 지 1년이 되지만 아직도 정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제도를 취지에 맞게 재정비하고 소비자 대상 교육·홍보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27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빙그레의 '바나나맛 우유'는 A대형마트에서 6월 말 현재 4개짜리 한 묶음에 3천600원으로 작년 6월보다 300원(9.1%) 올랐고, B편의점에서는 1개에 1천100원으로 100원(10%) 올랐다.

  
롯데제과 '월드콘'은 C기업형슈퍼마켓에서는 1개에 1천50원에서 1천400원으로 33.3%, B편의점에서는 1천500원에서 1천800원으로 20% 각각 인상됐다.

  
농심 '신라면'은 A대형마트와 C슈퍼에서 각각 5개짜리 한 묶음이 2천920원으로 1년 새 변동이 없었으며 오리온 '초코파이'는 B편의점에서 12개짜리 1상자에 3천200원, C슈퍼에서 2천590원으로 작년 그대로였다.

  
품목별 판매량 1, 2위를 다투는 이들 제품 모두 지난 1년간 업태별로 가격 변화폭에 차이가 거의 없었던 셈이다.

  
가장 큰 이유는 제조사에서 판매가를 정할 수 없더라도 납품가 또는 출고가는 조절 가능하기 때문으로, 판매가가 오른 제품은 출고가가 오른 것들이다.

  
제조업체는 원가 상승 등의 이유로 출고가를 올리고 유통업체는 출고가 인상을 이유로 판매가를 올리는 관행으로 양쪽 모두 오픈 프라이스 확대 시행 이후 바뀐 것은 없다.


실질적인 가격 인하 효과가 없었던 것에 더해 소비자가 이 제도의 취지를 거의 인지하지 못한 채 물건을 고를 때 혼란만 겪는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예컨대 한 인기 아이스크림은 기업형 슈퍼에서 1천400원, 유원지 매점에서 2천원에 팔리지만 동네 한 슈퍼마켓 아이스크림 판매대 앞에는 '50% 할인'이라는 안내문이 붙은채 1천원에 팔리기도 했다.


50% 할인기준이 불명확한 셈이다.


나아가 소비자들중에서 오픈프라이스 개념에 대해 모르는 경우가 많아 혼란을 겪고 있다. 오히려 권장소비자가가 사라져 불편하다고 하소연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관련 한 소비자단체 관계자는 "생필품에 가까운 가공식품은 제도 시행 전에 사전 장치가 충분히 마련돼야 했다"며 "가격 선택권을 유통업체에 넘겨주는 만큼 각 업체가 가격을 매기는 방식에 대해 정책적 관리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