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백화점·TV홈쇼핑 의류 판매수수료율 30% 이상"
상태바
"백화점·TV홈쇼핑 의류 판매수수료율 30% 이상"
  • 박윤아 기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11.06.29 15: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백화점과 TV홈쇼핑 등 대형유통업체들이 의류 입점업체에게 받는 판매수수료율이 평균 30%를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형마트들도 가정ㆍ생활용품 납품업체에게 상품매입액의 9~10%를 판매촉진 인센티브를 명목으로 판매장려금으로 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9일 롯데, 현대, 신세계 등 3개 백화점과 GS, CJO, 현대, 롯데, 농수산 등 5개 TV홈쇼핑 및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 3개 대형마트의 판매수수료 및 판매장려금을 조사해 처음으로 공개했다.

공정위 조사에 따르면 백화점의 상품군별 평균 판매수수료율은 피혁잡화가 34.1%로 가장 높았고, 가전제품이 18.7%로 가장 낮았다. 남성정장, 아웃도어, 여성정장, 캐주얼, 유ㆍ아동의류, 구도, 식기류, 화장품, 생활잡화 등의 판매수수료율이 30.6 ~ 33.5%를 차지했고 액세서리, 스포츠ㆍ골프, 식품, 가구, 완구 등은 22.0~28.9%에 달했다.

남성정장의 경우 판매수수료율 차이가 11.0%포인트, 여성 정장은 18.5%포인트가 나는 등 같은 상품군내에서도 판매수수료율 차이가 10% 이상 나기도 했다고 공정위는 전했다.

TV홈쇼핑 평균수수료율은 백화점과 마찬가지로 의류상품군이 전반적으로 30%를 넘는 등 상대적으로 높았고, 가전ㆍ디지털기기의 평균 판매 수수료율이 낮았다.


상품군별로는 청바지ㆍ유니섹스 35.8%, 여성정장 34.1%, 남성캐주얼 34.1%, 스포츠용품 29.3%, 문구ㆍ완구 27.0%, 화장품 32.7%, 건강식품 32.4%, 대형가전 23.5%, 디지털기기 16.5% 등이었다. 

대형마트의 상품군별 평균 판매장려금률은 과자ㆍ베이커리가 10.2%로 가장 높았고, 양곡이 3.4%로 가장 낮았다. 가공식품, 가정ㆍ생활용품은 8~10% 수준으로 높았고, 신선 식품 및 스포츠ㆍ레저용품은 3~5%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공정위 관계자는 "대형유통업체의 판매수수료율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조사된 만큼 유통분야 공정거래협약 이행평가시 수수료 수준에 대한 평가항목을 신설해 중소기업에 대한 부담완화를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