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100일을 맞은 한동우 신한금융지주 회장이 경영권 승계방식을 포함한 ‘그룹 운영체계 개선안’을 전격 발표했다.
<한동우 신한금융지주 회장(오른쪽)이 100일 취임 기자 간담회에서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한 회장은 지난달 30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지난 ‘신한사태’와 같이 경영권 장기화의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최고경영자(CEO) 신규 선임 연령을 만67세로 제한하고 연임 시에는 재임기한을 만70세로 제한하는 등 그룹 CEO 승계시스템을 구축했다”며 “이사회 산하에 ‘지배구조 및 회장후보추천위원회(가칭)를 신설해 이사회가 CEO 승계과정을 상시적으로 관리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신한금융이 그룹 CEO의 임기를 만70세로 제한한 것은 하나금융지주가 발표한 지배구조 개선안과 유사하지만 신규 선임 연령 제한을 명시해 단기 재임에 따른 리더십 불안 등의 문제점을 보완했다.
한 회장은 이어 “그룹의 주요현안을 협의하고 그룹 CEO의 의사결정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그룹 경영회의’를 신설할 계획”이라며 “여기에 참여하는 멤버들 중에 차기 후계자가 나오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룹 경영회의는 그룹 CEO(회장)와 주요 자회사 사장단, 그룹 사업부문 및 기능별 담당 임원이 참여하게 된다. 특히, 자회사 사장단에는 그룹 내 영향력이 큰 신한은행과 신한카드, 신한금융투자, 신한생명 사장 등 이 포함될 예정이다.
한 회장은 외부 영입 가능성에 대해 “그룹 경영회의 멤버 구성 특성상 신한금융을 잘 아는 내부인사가 차기 CEO가 될 가능성이 높지만 외부 인사를 배재하겠다는 것은 아니다”며 “다만 바로 CEO자리에 오르는 것보다는 그룹의 임원이나 자회사 사장으로 선임해 능력검증을 거치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내년부터 신한은행과 신한금융투자의 기업금융과 IB관련 사업부문(CIB), 그룹의 자산관리 관련 PB·WM 사업에 대해 부문별로 경영관리체계를 도입하겠다”며 “사업부문장은 사업비중이나 고객이 많은 은행 부행장급이 맡아 그룹 전체를 총괄해 시너지를 극대화 하겠다”고 강조했다.
신한금융은 1년 동안 시범운용을 거쳐 전체적인 매트릭스 체제로 갈지, 신한금융 고유의 매트릭스 체제로 갈지 결정할 방침이다.
한 회장은 향후 우리금융지주 등 인수․합병(M&A) 계획에 대해 “신한금융은 타지주사에 비해 부채비율이 제일 많아 우리금융 등 큰 매물을 인수할 여력이 안된다”며 “과거 조흥은행 차입금은 모두 갚았는데 LG카드 인수시 8조원의 차입금 중 금년말까지 5조3천억원 정도 남아 있다”고 밝혔다.
그는 아울러 “재무구조상 향후 2년 후에나 가능한데 현 시점에서 은행중심의 금융그룹 인수는 고려하지 않고 있고 보험․증권 부문은 좋은 매물이 나오면 인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마이경제 뉴스팀/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임민희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