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들이 12일 이사회 의결을 통해 성과연봉제 도입을 확정한다. 신한은행(행장 조용병)과 우리은행(행장 이광구)은 이미 이날 오전 이사회를 열고 성과연봉제 도입을 의결했다.
KB국민은행(행장 윤종규)과 KEB하나은행(행장 함영주)도 이사회를 열어 성과연봉제 도입을 확정할 예정이다.
금융권에서는 갑작스런 성과연봉제 도입 여부 관련 이사회 개최 배경에 대해 "임종룡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12일까지 최종보고를 마치라는 지시가 내려왔다"고 귀띔했다.
노사 간 합의로 성과연봉제 도입이 어려워지자 IBK기업은행(행장 권선주) 등 금융공기업처럼 이사회를 통해 의결하는 방안으로 노선을 변경한 것이다.
탄핵 정국으로 지지부진할 것이라고 예상했던 시중은행 성과연봉제 도입 확정이 일사천리로 이뤄질 가능성이 커지자, 금융권은 벌집을 쑤신 것 같은 형국이다.
당장 금융노조가 성명을 통해 "성과연봉제 도입을 강행한다면 관련 책임자는 박근혜 정권의 부역자로 규정하고 응징하겠다"고 반발하고 있다.
금융노조는 가처분신청과 소송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사회를 통한 성과연봉제 도입은 무효라는 것이다.
시중은행의 경우 금융공기관과 국책은행과 달리 성과연봉제로 임금체계를 변경하게되면 노조와 합의를 통해 도입시기와 세부사항이 결정될 전망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갑작스럽지만 올 것이 왔다는 반응이 많다"며 "(성과연봉제)구체적인 도입시기과 세부사항 등 사측과 노조가 논의할 것이 많은 만큼 성과연봉제 도입을 위해 갈 길이 멀다고 생가한다'고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정래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