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휴대전화 부문의 최대 최대 이슈는 역시 갤럭시노트7 폭발이었다. 갤럭시노트7 폭발로 인한 교환, 환불 정책 관련 소비자 민원이 폭증했다. 갤럭시노트7 리콜 영향으로 갤럭시 액정재고가 없어 수리를 못한다는 후속피해 제보도 들끓었다.
올 1월 1일부터 12월 20일까지 소비자고발센터(www.goso.co.kr)에 접수된 휴대전화 단말기 관련 소비자 제보는 총 4천263건에 달했다. 지난해(2천907건)보다 46% 급증한 것이다.
갤럭시노트7 폭발로 인한 환불 문제, 요금제 불만, 알뜰폰 불완전 판매 등이 주요 불만 내용이었다. G4, 넥서스5x 등 LG전자 단말기의 무한부팅 현상을 호소하는 소비자 제보도 많았다.
배터리가 남아있는데도 휴대전화 전원이 꺼지는 현상으로 소비자들이 고통을 겪고 있는데도 무성의하게 대응하는 애플의 AS 정책도 도마 위에 올랐다.
◆ 최대이슈는 갤럭시노트7 폭발

올해 휴대전화 관련 이슈는 단연코 갤럭시노트7 폭발이었다.
갤럭시노트7은 홍채인식, S펜, 삼성패스 기능은 삼성전자 스마트폰의 가장 앞선 기술력을 여지없이 보여주며 출시 직후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잇따른 발화사고가 발생하자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7에 대한 자발적 리콜을 진행했다. 리콜 이후 교환된 단말기에서도 폭발이 일어나자 삼성전자는 결국 단종을 선언했고, 통신3사는 갤럭시노트7 판매를 일제히 중단했다.
이 과정에서 갖가지 소비자 민원이 이어졌다. 갤럭시 노트7 교환, 환불을 두고 단말기 뿐 아니라 액세서리나 이전 수리비 등 각종 변수들이 드러나면서 정확한 기준이 적용되지 않아 마찰이 생겨났다. 액세사리의 일부 환불이 제한되기도 하고 통신사에 따라 사은품 반납조건이 달라지기도 하고, 이전 유상수리 비용 환불이 안되는 사례도 생겨나며 소비자들의 혼란이 가중됐다.
갤럭시노트7 리콜 여파는 다른 모델을 이용중인 소비자들에게까지 번졌다.
단말기 액정부품 재고 부족으로 수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 올 하반기에는 노트4, 노트5, S7 등 갤럭시 시리즈 단말기의 액정파손으로 수리를 받고 싶지만 부품 재고가 없어 수리를 못하고 있다는 제보가 하루에도 10여 건 이상씩 쏟아졌다.
부품 공급이 언제 이뤄질지에 대한 확답조차 받지 못했다는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고, 임대폰 조차 지급받을 수 없어 액정 파손이 심한 이용자의 경우 휴대전화를 아예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져 소비자들의 원성을 자아냈다.
갤럭시노트7 이슈는 아직도 현재진행형이다. 국내 소비자 2천400명은 삼성전자를 상대로 1인당 50만 원을 배상하라며 단체 소송을 걸었고, 올해 12월까지 교환을 권유하고 있지만 계속 사용하는 소비자들이 많아 삼성전자의 골머리를 앓게 하고 있다.
반면 이번 사태를 통해 소비자들의 권익보호가 강화된 측면은 긍정적이라 할 수 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앞으로 휴대전화 단말기 리콜조치가 취해졌을 때 수리가 필요한 경우 제조사는 15일 이내 마무리해야하고, 수리 기간 동안에는 대체 단말기를 제공해야 한다는 내용의 가이드라인을 연말 발표할 예정이다.
◆ LG 전자 단말기 무한루팅 현상, 애플의 불친절한 AS도 도마
LG전자 단말기의 제품 이상을 호소하는 소비자들의 제보도 많았다. 특히 G4, 넥서스5x 등에서 배터리 문제로 인한 무한부팅 현상이 발생해 소비자들이 고통을 호소했다.
무한부팅이란 스마트폰이 정상적으로 켜지지 않고 초기 부팅 화면을 반복하는 오류를 말한다. 하지만 G4에 대해서는 무상수리를 적용하면서도 넥서스5x에 대해서는 유상수리를 적용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불만이 큰 상태다.
애플의 불친절한 AS는 올해에도 어김없이 소비자들의 원성을 샀다. 휴대전화가 이유없이 꺼지는 현상이 다수 발생한다는 소비자 제보가 많이 접수됐다. 하지만 애플이 갑자기 전원이 꺼지는 문제가 발생한 아이폰6s는 배터리 무상교체를 해주고, 동일 증상이 발생한 아이폰6과 아이폰6s+에 대해서는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아 형평성 논란을 낳았다.
또 2015년 9월과 10월 사이에 제조된 특정 일련번호 범위 내의 아이폰 6s 기기로 무상수리 제품을 한정지었는데 그 이외의 기간에도 같은 증상이 발생하는 사례가 많아 문제가 되고 있다.
이 밖에도 알뜰폰 관련 사업자 부당판매 행위로 인한 피해가 고령 소비자들에게 집중되며 관련 제보도 상당수 접수됐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국헌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