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상인들의 반대로 5년째 표류하고 있는 상암 롯데 쇼핑몰 건립이 파행을 거듭하고 있다.
서울시는 오는 27일 도시건축공동위원회(이하 도건위)를 열고 상암 디지털미디어시티 롯데복합쇼핑몰 세부개발계획 결정안을 심의할 예정이지만 불과 한 달 전에도 심의가 보류된 바 있어 승인을 낙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지역상인들로 구성된 ‘복합쇼핑몰 강행 반대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의 반발이 지속되고 있지만, 롯데쇼핑은 서울시에 행정소송을 걸며 쇼핑몰 추진을 강행하고 있어 향후 결과가 주목된다.
상암 롯데쇼핑몰 건립안은 지난 5월 말 제8차 도건위 심의에서 ‘보류’로 결정났으며, 이후 비대위와의 추가 협의 등이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다. 앞서 2015년 7월, 12월에 있었던 심의도 ‘보류’로 끝난 바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그동안 지역 상인들과의 ‘상생’이 우선이라는 입장을 고수했던 터라 비대위와의 의견 조율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 도시관리과 관계자는 “비대위와 협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무조건 승인할 수 없다는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지난 도건위 당시 ‘상생 협의를 고려해야 한다’ 등 몇 가지 이유로 보류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이 부지는 지난 2013년 롯데쇼핑이 ‘상암 롯데복합쇼핑몰’을 건립하기 위해 서울시로부터 사들인 곳이다. 1900여억 원을 투자해 백화점과 영화관, 기업형 슈퍼마켓 등을 포함해 롯데쇼핑몰을 지을 계획이었지만, 망원시장을 비롯해 인근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혔다.
2017년 준공을 목표로 했지만 5년 가까이 첫삽을 뜨지도 못한 롯데쇼핑은 서울시와 더불어 비대위와 협의를 계속하고 있지만 의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다.
비대위에서는 롯데쇼핑 측에 상업시설 필지를 최소로 하고 문화시설 등을 늘려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비대위 서정래 위원장에 따르면 비대위는 서울시의 중재로 롯데쇼핑과 여러 차례 만나 상업시설 필지를 줄여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롯데 측은 전체 건물의 30%를 오피스 타운 등 비판매 시설로 구성하기로 했고 시장과 판매물품이 겹칠 수 있는 롯데마트, 롯데슈퍼 등을 포함시키지 않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나머지 2개 필지를 ‘합필(合筆)’해 통합쇼핑몰을 짓겠다고 밝히면서 다시 갈등이 불거졌다. 비대위 서정래 위원장은 ‘합필’에 대해 “복합쇼핑몰 규모를 키우는 행위는 ‘상생’에 반하는 행동”이라고 주장했다.
서 위원장은 "대형 쇼핑몰이 들어서면 5~10km 안에 있는 지역 상권이 죽는다는 것은 영등포 타임스퀘어, 롯데몰 은평점 등의 사례를 살펴봤을 때 자명한 사실“이라며 ”복합몰로 인해 지역 상권이 파괴되지 않도록 피해를 최소화시키자는 것이 비대위 주장“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5년 전 서울시가 롯데에 부지를 매각할 당시에는 상생’을 강조하는 사회 분위기가 아니었지만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고 덧붙였다.
반면 롯데쇼핑 입장에서는 인허가가 빠르게 해결되길 바라고 있다. 롯데쇼핑은 서울시가 적극적으로 중재해줄 것을 촉구하면서 지난해 서울시를 상대로 ‘도시계획 심의 미이행에 따른 부작위 위법 확인 소송’을 제기했다. 법원은 지난 5월 말 8주 이내에 쇼핑몰 건립 심의 일정을 조율할 것을 서울시에 권고한 상태다.
다만 27일 열리는 도건위 심의에서 ‘승인’을 받는다 하더라도 여전히 ‘합필’에 대한 양 측의 의견이 갈리고 있어 상생안 합의에 난항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롯데쇼핑 관계자는 “복합쇼핑몰의 최소 규모를 생각했을 때 이미 한 필지를 비상업시설로 바꾸기로 한 터라 합필을 양보하긴 어렵다”며 “이번에 승인이 되면 소송을 취하할 예정이지만 보류되도 법원 조정 효력이 남아있는 상태”라고 전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문지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