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브랜드 뉴 헤비스 "한국 바비뷰가 그립다"
상태바
브랜드 뉴 헤비스 "한국 바비뷰가 그립다"
  • 뉴스관리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07.10.29 05: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애시드 재즈(Acid Jazz)' 장르를 세계적으로 정착시킨 영국 출신 4인조 밴드 '브랜드 뉴 헤비스(The Brand New Heavies)'가 4년 만에 한국을 찾아 11월8일 오후 8시30분 서울 강남구 청담동의 클럽 '디 앤서(The Answer)'에서 단독 내한공연을 펼친다.

   이 밴드의 리더로 드럼과 보컬을 맡고 있는 얀 킨케이드(Jan Kincaid)는 공연을 앞두고 가진 연합뉴스와의 이메일 인터뷰에서 "4년 전 한국 공연 때 너무나 뜨거운 관객 반응에 놀랐고, 이번 내한에서는 한국인이 진정으로 즐기는 문화를 접해보고 싶다"면서 "한국의 바비큐가 너무나 그립다"고 소감을 말했다.

   브랜드 뉴 헤비스는 1970년대 펑크 리듬을 재즈 등과 현대적인 감각으로 결합한 음악으로 관심을 모았다. '브라더 시스터(Brother Sister, 1994년)' '셸터(Shelter, 1997년)' 등 수작을 잇달아 발표해 팬층을 넓혔다.

   2003년 '위 원트 스톱(We Won't Stop)'부터는 일렉트로니카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등 다양한 음악을 시도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초기 멤버 엔디아 대븐포트가 보컬로 복귀해 '겟 유스드 투 잇(Get Used To It)'을 발표,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이번 공연은 오리지널 보컬리스트인 엔디아가 다시 돌아와 꾸미는 공연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지요. 오리지널 멤버로 구성돼 에너지로 가득 찬 활력 넘치는 공연을 선보일 생각입니다. 엔디아의 컴백으로 우리 밴드가 보여줄 수 있는 최상의 라인업을 갖추게 됐어요. 그녀 덕분에 브랜드 뉴 헤비스의 창조력이 극대화될 수 있게 됐습니다."
   애시드 재즈는 재즈에 랩, 힙합, R&B 등의 요소를 결합한 장르로 경쾌한 리듬이 돋보인다. 1980년대 말에 등장했으며, 자미로콰이와 브랜드 뉴 헤비스 등에 의해 세계적으로 알려졌다.

   "애시드 재즈라는 단어는 재즈 펑크, 솔 재즈, 솔 등을 쉽게 통합해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졌지요. 우리의 음악이 애시드 재즈 장르로 불렸지만 우리는 그동안 우리에게 영향을 줬던 펑크 솔 재즈 힙합 일렉트로니카 록 레게 라틴음악 등 다양한 장르를 표현해왔습니다. 애시드 재즈는 신세대를 위해 만들어진 신조어일 뿐이에요."
   이어 그는 "팬들이 우리의 음악을 즐기며 우리의 음악이 그들 인생의 한 부분으로 자리잡기 원한다"면서 "브랜드 뉴 헤비스가 단지 한 장르로 단정지어지는 것은 원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1985년 결성 후 여성 보컬리스트를 제외한 주요 멤버의 교체 없이 탄탄한 팀워크를 유지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서는 "우정, 서로에 대한 존중, 모두 같은 음악을 사랑한다는 점 등이 팀워크의 비결"이라며 "우리가 시도하는 음악을 얼마나 즐기고 있는지 스스로 발견할 때 큰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끝으로 그는 "아직 한국 음악을 제대로 접해본 적은 없지만 이번 내한을 계기로 다양한 한국 음악을 배우고 싶다"면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을 보이며 인터뷰를 마무리했다. (연합뉴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