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기혼여성 10명중 9명은 "아들이 꼭 있어야 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9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의 '2006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남편을 둔 15∼44세 여성을 대상으로 3년마다 '아들의 필요성 여부'에 대해 시계열적으로 분석 조사한 결과, '아들이 꼭 있어야 한다'는 의견은 1991년 40.5%, 1994년 26.3%, 1997년 24.8%, 2000년 16.2%, 2003년 14.1%, 2006년 10.1%로 해마다 떨어졌다.
반대로 '아들이 없어도 무관하다'는 의견은 1991년 28.0%, 1994년 38.9%, 1997년 39.4%, 2000년 39.5%, 2003년 43.3%, 2006년 49.8% 등으로 매년 급증하고 있다.
아울러 '아들이 꼭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있는 것이 좋다'는 의견 역시 1991년 30.7%, 1994년 34.3%, 1997년 35.0%, 2000년 43.2%로 증가했지만, 2003년에는 41.8%로 처음으로 감소하더니 2006년에는 39.3%로 더욱 뒷걸음질했다.
또 도시지역(동부지역)보다는 읍.면지역(농촌지역)에 거주할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아들이 꼭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2006년 조사에서 아들이 필요한 이유(복수응답)로는 심리적 만족이 67.1%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가정행복(51.2%), 전통적 가계계승 측면에서 가문유지(19.0%)와 제사(5.0%) 때문에 등을 꼽았으며, 노후생활(2.6%)과 경제적 도움(1.0%)이 필요하기 때문이라는 응답비율은 낮았다.
김승권 보사연 연구위원은 "이 조사에서 한국사회의 가치관이 '아들이 꼭 있어야 하거나 있는 것이 좋다'에서 '없어도 괜찮다'는 쪽으로 바뀌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김 연구위원은 "그렇지만 이 조사결과는 역설적으로 비록 그 강도는 현저히 낮아졌지만, 한국사회에 여전히 아들을 선호하는 가치관이 강하게 잔존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29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의 '2006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남편을 둔 15∼44세 여성을 대상으로 3년마다 '아들의 필요성 여부'에 대해 시계열적으로 분석 조사한 결과, '아들이 꼭 있어야 한다'는 의견은 1991년 40.5%, 1994년 26.3%, 1997년 24.8%, 2000년 16.2%, 2003년 14.1%, 2006년 10.1%로 해마다 떨어졌다.
반대로 '아들이 없어도 무관하다'는 의견은 1991년 28.0%, 1994년 38.9%, 1997년 39.4%, 2000년 39.5%, 2003년 43.3%, 2006년 49.8% 등으로 매년 급증하고 있다.
아울러 '아들이 꼭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있는 것이 좋다'는 의견 역시 1991년 30.7%, 1994년 34.3%, 1997년 35.0%, 2000년 43.2%로 증가했지만, 2003년에는 41.8%로 처음으로 감소하더니 2006년에는 39.3%로 더욱 뒷걸음질했다.
또 도시지역(동부지역)보다는 읍.면지역(농촌지역)에 거주할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아들이 꼭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2006년 조사에서 아들이 필요한 이유(복수응답)로는 심리적 만족이 67.1%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가정행복(51.2%), 전통적 가계계승 측면에서 가문유지(19.0%)와 제사(5.0%) 때문에 등을 꼽았으며, 노후생활(2.6%)과 경제적 도움(1.0%)이 필요하기 때문이라는 응답비율은 낮았다.
김승권 보사연 연구위원은 "이 조사에서 한국사회의 가치관이 '아들이 꼭 있어야 하거나 있는 것이 좋다'에서 '없어도 괜찮다'는 쪽으로 바뀌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김 연구위원은 "그렇지만 이 조사결과는 역설적으로 비록 그 강도는 현저히 낮아졌지만, 한국사회에 여전히 아들을 선호하는 가치관이 강하게 잔존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