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권 여당인 한나라당과 정부 부처의 계속되는 공개 사퇴압박에도 불구, 노무현 정권의 공기업 기관장들이 `버티기 작전'으로 나오자 청와대가 특단의 카드를 꺼내든 것으로, 새 정부가 전(前) 정권 인사들과의 단절을 본격 시도하는 것으로 해석돼 주목된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13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산하 기관장들 가운데 참여정부에서 청와대 수석을 지낸 사람들도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면서 "참여정부의 핵심에 서 있던 사람들과 국정을 함께 운영해 나간다는 것은 좀 그렇지 않느냐"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이전 정부 사람들을 업무보고에 참석하라는 것은 자칫 `앞으로도 국정을 같이 운영해 가자'는 것으로 잘못 비칠 수 있다"면서 "어차피 같이 국정을 운영해 나갈 사람이 아니라면 업무보고에 배석시키는 것 또한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 청와대도 관련 조치를 취한 것으로 안다"며 참여정부 출신 핵심 기관장들의 `업무보고 배제방침'을 내비쳤다.
실제 청와대는 14일 문화관광체육부 업무보고 때 오지철 한국관광공사 사장과 정순균 한국방송광고공사 사장 등은 참석하지 말도록 조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애초 문화부 업무보고 참석자 명단에는 오 사장과 정 사장 등 전 정권 출신 인사 상당수가 포함돼 있었으나 청와대가 스크린 과정에서 배제토록 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화부 차관을 지낸 오 사장은 지난 2007년 11월 임명돼 2010년 11월에 임기를 마치고, 국정홍보처장을 지낸 정 사장은 2006년 5월 임명돼 2009년 5월까지 재직할 수 있도록 돼 있다.
앞서 유인촌 문화관광체육부 장관은 전날 "이전 정권의 정치색을 가진 문화예술계 단체장들은 스스로 자리에서 물러나는 것이 자연스럽다"며 구 정권인사들의 자진사퇴를 촉구한 바 있다.
새 정부는 지식경제부와 국토해양부, 보건복지가족부 등 다른 부처 업무보고 때도 마찬가지로 참여정부 출신 기관장들의 업무보고 참석을 불허할 것으로 알려졌다.(연합뉴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