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일 '하루 수당이 무려 28만원'
공무원들이 내달 총선일 '짭짤한 알바'자리를 놓고 쟁탈전을 벌이고 있다.
4월9일 총선에서 투표 관련 사무를 담당할 공무원의 수당이 최고 28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 일에 비해 너무 많은게 아니냐는 비판이 일고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책정한 경비집행 기준에 따르면 투표관리관에게는 수당 8만원과 사례금 10만원, 휴대전화사용 보전료 1만원, 투표관계서류 인계여비 1만원이 지급된다.
여기에 투표일 전에 2차례에 걸쳐 근무시간에 실시하는 투표사무 교육 참가비 8만원을 더하면 투표관리관은 모두 28만원을 받게 된다.
선관위는 투표관리관의 위촉기준을 `가급적 투표사무원을 지휘.감독할 수 있는 6급 이상의 공무원'으로 정하고 있는데 대부분 일선 구청의 6급 공무원이 투표관리관직을 맡는다.
30만원 가까운 `알바비'를 손에 쥘 수 있다보니 투표관리관을 맡기 위한 경쟁도 치열하다.
부산 모 구청의 경우 6급 전원이 투표관리관을 맡겠다고 나섰으며, 6급 직원 수보다 투표관리관직이 적게 할당된 과에서는 제비뽑기나 가위바위보 혹은 연공서열순으로 투표관리관을 정하는 풍경도 연출되고 있다.
투표관리관은 각 투표소마다 1명씩 위촉되며 투표사무원의 선정 및 추천, 투표용지 수령.관리, 투표사무원 교육, 투표사무 진행 등을 담당한다.
그러나 부산의 한 구청 관계자는 "사실상 투표준비와 진행은 대부분 전례에 따르기 때문에 솔직히 투표관리관은 형식적인 자리"라며 "큰 힘들이지 않고 용돈을 벌 수 있는 기회로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고 말했다.
시민단체들도 `하는 일에 비해 지나치게 많이 받는다'며 비판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부산YMCA 오문범 시민중계실장은 "쉬는 날 일하는데 대한 보상이라는 점은 이해하지만 어찌보면 공무원으로서 당연히 해야 할 일"이라며 "지나치게 많은 보상은 국민정서상 반감을 살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오 실장은 또 "각 당이 서로 감시하는 상황에서 예전처럼 부정선거가 가능한 것도 아닌데 투표관리관에게 그렇게 많은 수당을 줄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라며 "선거비용을 낭비하는 요인이 아닌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개뿔도 모르면서...하루...28만원...ㅉ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