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국내 약값 프랑스· 영국등 선진국보다 높다"
상태바
"국내 약값 프랑스· 영국등 선진국보다 높다"
  • 임기선 기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08.03.20 08: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약값이 선진국보다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는 국내 약값 수준이 외국 보다 낮다는 제약업계의 주장과는 상반되는 것이다.

 배은영 상지대 교수는 20일 `의약품 등재가격 결정방식 및 개선방안 연구'란 논문을 통해 이 같은 분석결과를 공개했다.

  이 연구는 배 교수가 지난 2007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연구원으로 있을 때 만든 것이다. 연구결과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인 조재국 박사가 대한병원협회지 2008년 3,4월 통합호에 기고한 `건강보험 약가정책의 개선방향'이란 글에서도 인용됐다.

   배 교수는 우리나라 약값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기준이 된 이른바 A7국가(미국, 프랑스, 영국, 독일, 스위스, 이탈리아, 일본)를 포함해 스페인, 호주, 대만 등 모두 10개국에서 판매되는 매출액 기준 상위 500대 성분의 대표 브랜드 의약품의 국가간 가격(외국가격/우리나라 가격)을 비교, 분석했다.

   가격을 비교할 때 배 교수는 환율, 국가간 물가수준의 차이를 보정한 구매력지수, 공장도 출하가격 등 3가지 경우를 고려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우선 환율로만 비교하면 우리나라가 다른 10개국에 비해 가격수준이 낮다고 할 수 있으나, 구매력 지수를 감안했을 때는 프랑스, 영국, 스페인, 호주가 우리나라보다 약값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장도 출하가로 비교했을 때 미국과 이탈리아, 일본 등 3개국을 제외한 모든 나라가 우리나라보다 약값이 낮았다.

   심지어 일본과 이탈리아의 경우에도 우리나라와 가격 차이가 크게 나지 않았다. 다만 전반적으로 미국의 약값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