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호조로 경제성장률도 당초 예상을 큰 폭으로 웃도는 5.0%를 기록했다. 그러나 국제유가 상승 등으로 교역조건이 악화돼 실질 GNI 성장률은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여전히 밑돌고 있다. 체감경기는 오히려 악화되고 있다.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2007년 국민계정(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2만45달러(한화 1천862만6천원)로 집계돼 전년의 1만8천401달러보다 8.9% 증가했다.
1인당 국민소득은 1994년 9천459달러에서 95년 1만1천432달러로 1만달러 시대에 진입했으며 96년 1만2천197달러까지 올라갔다. 외환위기로 98년 7천355달러로 떨어졌다가 2000년 1만841달러로 다시 1만달러를 회복했으나 95년에도 미달하는 수준이었다.
이후 2002년 1만1천499달러, 2003년 1만2천720달러, 2004년 1만4천193달러 등으로 높아지는 등 환율하락 덕분에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연간 실질 GNI는 전년에 비해 3.9% 증가한 것으로 집계돼 여전히 실질 GDP 성장률을 12년째 밑돌았다.
실질 GNI는 물가 등을 감안한 국민소득의 실질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다. 이 수치가 GDP 성장률을 밑돈다는 것은 경제의 외형이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민의 실제 소득증가가 뒤따르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실질GNI가 경제성장률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는 것은 수입재화 가격이 상승한 반면 수출재화 가격이 하락함에 따라 교역조건이 악화한 데 따른 것이라고 한은은 설명했다.
작년 실질 GDP는 수출호조와 설비투자와 민간소비도 견조한 증가세로 전년에 비해 5.0% 성장했다.이에 따라 실질GDP는 2006년 5.1%에 이어 2년 연속 5%대 성장을 기록했다.
GDP에 대한 순수출의 성장기여율은 전년의 25.9%에서 지난해 26.7%로 소폭 상승한 반면 내수의 성장기여율은 79.4%에서 73.1%로 하락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