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에 도입된 전신 검색기가 인권 침해를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18일 LA 타임스보도에 따르면 미연방 교통안전청(TSA)은 보안검색 전신 검색기 1대를 도입, LA국제공항내 5번 터미널에 설치하고 추가 보안검색이 필요한 승객들을 대상으로 17일부터 시범 운영한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LA공항은 미국에서 2번째로 스캐너를 도입한 공항이 됐으며, TSA는 대당 15만 달러인 검색기를 올해 안에 30대 이상 구매해 다른 공항에도 설치한다는 방침이다.
'밀리미터파(波) 화상기(millimeter wave imaging)'라고 부르는 이 검색기는 높이 2.7m, 폭 1.8m의 공중전화 부스 모양으로, 대상자의 신체를 흑백 영상으로 보여줘 무기류나 폭발물을 소지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한 눈에 알게 해준다.
지금까지 공항에서는 추가 검색이 필요할 경우 보안 직원들이 일일이 몸을 더듬어 검사 해왔지만 이제 검색기를 통과시킴으로써 신속하게 검사가 가능하게 된다고 TSA는 설명했다
그러나 인권운동가들은 신형 검색기를 이용할 경우 탑승객의 가슴이나 근육 등 신체의 윤곽이 3차원 영상으로 보여짐으로써 나체 상황에서의 몸매를 노출시키는 것과 같다고 설명하며 엄연한 인권침해라고 주장하고 있다
TSA측은 이에 대해 “1차 검색을 통과하지 못할 경우 신형 검색기를 통과할 것인지, 아니면 기존의 방식을 원하는 지 선택권을 줄 것이며 검색기를 통과 시 해당 탑승객의 얼굴 부분을 흐릿하게 처리하고 영상의 저장이나 출력을 금지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TSA는 “또 최근 테스트를 한 결과 대상자의 80%가 몸을 더듬는 방식 대신 검색기를 원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인권운동가 및 사생활 보호론자들은 첨단 기술이 넘쳐나는 현실에서 이들 영상이 외부로 흘러나와 인터넷에서 거래되는 상황이 빚어지지 말라는 법이 없다며 보다 확실한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저게 왜 인권침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