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형 영화배급사와 복합상영관, 서울영화상영관협회(옛 서울시극장협회), 지방 상영관이 영화 관람료를 담합해 오다가 무더기로 적발됐다.
공정거래위원회는 5개 대형 영화배급 회사와 3개 복합상영관이 영화관람료 할인을 중지하는 수법으로 담합한 행위를 적발, 시정명령과 함께 69억1천4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기로 했다고 20일 발표했다.
이들은 이처럼 불공정 행위를 하다가 적발돼 과징금을 부과해도 남는 장사를 한다는 판단에 따라 공공연하게 담합을 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실제 공정위 과징금 부과 액수는 이들이 벌어 들인 부당 수입 보다 훨씬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적발된 배급 회사는 CJ엔터테인먼트, 미디어플렉스, 롯데엔터테인먼트, 시네마서비스, 한국소니픽쳐스릴리징브에나비스타영화 등이며, 상영관은 CJ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다.
이들 배급사와 상영관은 작년 3월12일 모임과 상호 연락 등을 통해 배급 회사가 상영관에 자체할인을 금지하는 공문을 보냈다. 상영관들은 이를 근거로 자체 할인을 중지했다.
공정위가 입수한 공문 내용은 ▲상영관의 관람료 자체 할인 금지 ▲단체할인은 1천원 범위 내에서 배급사와 협의해 시행 ▲조조는 11시 이전, 심야는 23시 이후 ▲초대권은 영화 개봉 2주 후부터 사용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들의 담합으로 상영관의 멤버십카드를 소지한 관람객에 대한 가격할인과 멤버십데이 등 상영관이 지정하는 특정일에 제공하는 가격할인, 상영관 이벤트 가격할인, 대학생. 청소년 할인 등이 중단됐다.
김상준 공정위 시장감시국장은 "이런 할인중단으로 인해 영화관람료가 약 300∼400원 인상되는 효과가 있었다.연간 영화관람객 수와 할인중단이 적용됐던 기간(4개월) 등을 감안할 때 상영관들이 할인중단으로 인해 약 150억원의 관람료를 더 벌어들인 것으로 추산됐다"고 말했다.
공정위는 또 지난해 2월14일 서울영화상영관협회가 임시총회를 열어 요금 할인경쟁 중지를 결의하고 이런 내용을 회원사에 통보한 행위도 적발, 시정명령과 함께 3천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기로 했다.
공정위는 대전, 창원, 마산지역의 CJ CGV, 롯데시네마, 메가라인 창원, 마산시네마 등 4개 상영업자가 작년 3월22일 담합을 통해 영화관람료를 인상한 점도 적발해 시정명령을 내렸다.
국내최초 섹.스커뮤니티
섹..스파트너//조..건만남
스와핑//2:1만남
회원사진공유
오프라인 VIP회원 초대권발급
원하는 파트너를 5분안으로찾는다!!
오프라인모임 및 이벤트 행사!!
이보다 더한 커뮤니티는 없었다!!
www.njoyzon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