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 우려로 금리인상에 나서는 국가들이 늘어나고 통화정책을 긴축으로 선회하거나 환율을 평가절하하는 등 인플레를 완화시키기 위해 각국이 몸살을 앓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1일 인플레 우려가 전세계적으로 커지고 금융시장을 흔들고 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10일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7.7% 폭락, 올해 들어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인플레 우려를 완화시키기 위해 지급준비율을 1%포인트 인상하는 등 통화 긴축정책의 조치를 취한 탓이다.
베트남 정부도 10일 물가상승 압박을 완화하기 위해 자국 통화인 동의의 미 달러화 가치를 2% 가까이 평가절하했다.
미국의 경우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이 고유가가 인플레이션 우려를 키우고 있다고 경고하면서 금리 인상 가능성이 제기되자 2년 만기 재무부 채권 수익률이 6일의 2.4%에서 10일에는 2.9%로 급등했다.
캐나다 중앙은행인 뱅크 오브 캐나다는 에너지 가격 급등에 따른 물가상승 우려를 반영해 금리를 예상 외로 동결했다. 유럽중앙은행(ECB)은 최근 장-클로드 트리셰 총재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하는 등 금리 인상을 고려하고 있다.
러시아,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은 지난주에 금리를 인상하기도 했다.
특히 물가상승에 개발도상국들이 취약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많은 경제전문가들은 올해 초만 해도 개도국들이 직면한 가장 큰 위협으로 미국 경제 성장의 둔화를 우려했지만 이제는 인플레가 이들 국가에도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세계은행은 10일 내놓은 연례 보고서에서 개도국들의 올해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다소 둔화할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유가와 식량가격 급등이 지난 몇 년간의 급성장과 함께 인플레 압력을 가중시켜 부담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BOA)가 1년전 24개 주요 개도국을 상대로 조사했을 때만 해도 이들 국가의 4분의 3이 인플레 통제 목표치를 충족하거나 이보다 낮은 물가 상승률을 보였다.
그러나 지금은 이들 국가 모두가 이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신용평가회사 피치는 이들 국가들은 전반적인 인플레가 최근에 가장 높았던 2002년 수준으로 돌아왔다고 추정했다.
중국의 경우 물가상승률은 2006년 초만 해도 1% 미만이었지만 지금은 1년 전과 비교해 8%를 넘어섰다. 인도의 경우도 5월 물가 상승률이 8%를 넘었고 주가는 올해 들어 27%나 빠졌다.
신문은 인플레에 대한 전형적인 대응 방법은 금리 인상이지만 이는 경제성장에 타격을 주고 증시에 부담이 되고 특히 수출 주도형인 개도국들의 통화를 안정시키려는 노력을 복잡하게 만든다고 지적했다.
세계은행의 연례 보고서 공동저자인 한스 티머는 개도국의 경제성장 전망은 아직 견고하고 성장 둔화가 있을 수 있지만 심각하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그러나 이들 경제의 우려가 성장보다는 인플레 쪽으로 옮겨가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