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중앙생태계환경보전연구회에 따르면 최근 비무장지대 강산저수지에서 수중생태계를 조사한 결과 25㎝ 이상되는 붕어 등 토종 물고기들은 대부분 배가 쑥 들어가 있는 이상한 형태가 발견돼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일반적으로 둥근 체형을 유지하는 붕어와는 달리 강산저수지의 붕어들은 머리 만 클 뿐 배가 들어가 있었으며, 잉어는 꼬리로 갈수록 바짝 말라 있는 형태로 생명을 유지하고 있었다.
또 이들 토종 물고기의 몸에는 곰팡이가 생겨나는 등 병에 걸린 것도 상당수 확인됐다.
이처럼 비무장지대에서 유입되는 물을 수원으로 하는 최전방 저수지에서 토종 물고기들의 영양상태가 불량한 이유는 정밀조사가 실시되지 않아 규명되지 못했지만 연구회 측은 이 곳에 방류한 초어를 주범으로 지목하고 있다.
1978년 저수지를 준공할 당시 물속에 잠기는 풀들을 처리하기 위해 방류한 외래어종 초어의 개체수가 30여년 간 불어나 플랑크톤을 생산하거나 광합성 작용을 하는 수초를 싹쓸이해 먹이가 부족해졌기 때문이다.
이번 조사는 활동에 제한을 받는 비무장지대 특성상 초어를 잡을 수 있는 자망 대신 정치망을 이용했기 때문에 초어를 포획하지는 못했으나 저수지 바닥은 이미 초어들의 왕성한 활동으로 수초들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곳에 사는 일부 초어들의 경우 무게가 45㎏에 이를 정도로 성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연구회는 초어로 수중의 영양상태가 악화된 현상이 토종 물고기의 성장을 교란시키는 것에 그치지 않고 수중 생태계 전반에 악영향을 가져올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식성이 왕성한 초어들이 인이나 질소 성분을 흡입하는 조개나 갑각류까지 먹어치울 경우 자정능력이 떨어지면서 부영양화의 원인이 되고 이는 다시 수온을 높여 안개 발생 등을 촉진, 주변 환경의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철원 비무장지대 토종 물고기들은 영양상태가 열악한 강산저수지 뿐만 아니라 외래어종인 배스와 불루길이 96.9%를 차지하고 있는 인근 토교저수지에서도 위협받고 있어 정상적인 수중 생태계를 회복하기 위한 대책이 요구된다.
중앙생태계환경보전연구회 관계자는 "다들 비무장지대는 생태계의 보고로 아는데 강산저수지는 토종 물고기들이 영양실조에 걸릴 정도로 한계점에 다다랐다"면서 "앞으로 정밀조사와 함께 환경부 등이 임시 관리를 맡아 생태계를 회복시키는 방안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초어방류 후 초어의 개체수가 늘어난 것으로 발표하였는데, 초어는 국내에서는 자연번식이 되지 않는 생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중국대륙과 같이 긴 강에서만 자연번식하는 것이지요. 초어는 산란기가 되면 강상류로 이동하여 산란하고, 수정란은 강을 따라 계속 알이 부유하면서 하류 쪽에 와서 부화하는 것이지요. 따라서 수정후 알이 지속적으로 움직이지 않으면 부화가 안되므로 국내의 환경에서는 자연번식이 어렵지요. 따라서 아무리 작은 개체를 채집하려고 해도 당연히 채집이 안돼는 것이지요. 참고바랍니다. 김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