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LCD 총괄 이상완 사장은 24일 일본 요코하마에서 개막한 디스플레이 전시회인 'FPD(Flat panel display) 2007' 기조연설에서 "LCD 생산 라인의 추가 운용은 8-2 라인의 경우 8세대 기판 크기를 기본으로 검토하고, 8세대 이후에는 9세대를 생략하고 10세대로 바로 넘어가는 방향을 고려하고 있다"며 삼성전자의 미래 구상을 밝혔다.
10세대는 60, 70인치 등 50인치 이상 초대형 패널 생산에 적합한 생산 체제로, 현재 글로벌 LCD 업계 중 10세대 투자 계획을 밝힌 업체는 일본의 샤프가 유일하다.
삼성전자가 검토하고 있는 10세대 LCD 기판 크기는 샤프가 계획하고 있는 기판 크기보다 다소 큰 3천±α㎜X3천200±α㎜로, 60인치 패널은 8장, 70인치는 6장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이 사장은 삼성전자 LCD 총괄의 LCD 제품별 전략 구상도 밝혔다.
이 사장은 "TV 분야는 8세대를 중심으로 46, 52인치 시장에 집중하고 노트북은 LED 백라이트를 채용한 제품과 16대9 와이드 포맷을 적극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모니터는 IT와 TV에 모두 적합한 풀HD급 24, 26인치를 전략적으로 추진해 'TV-Like 모니터'를 구현할 계획이며 중소형은 3인치 이상, 200ppi(pixel per inch)이상의 고해상도 시장 공략을 구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올 상반기 출범한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장을 맡고 있는 이 사장은 FPD(평판디스플레이) 산업의 미래에 대해 "IT 제품은 성숙기에 접어들었고 2010년에는 TV 시장도 성숙기에 접어들게 된다"며 "이에 따라 세계 디스플레이 업계는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기 위한 'FPD 2라운드'를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사장은 FPD 업계의 신성장동력으로 디지털간판 등 5개 품목을 제시해 주목 받았다.
이 사장이 제시한 신성장동력 제품 후보군은 ▲공공장소에서 야외 포스터 등을 대체할 '디지털 간판' ▲풀HD의 4배인 울트라급 해상도에 현장감을 극대화한 '어드밴스 TV' ▲칠판처럼 쓰기가 가능한 사무실, 학교용 100인치급 '대형 e-보드' ▲노트북, 모니터에 고화질 기술을 접목한 '프리미엄 IT LCD' ▲쉽게 들고 다니면서 대형화면 시청이 가능한 '휴대용 디지털 보드' 등이다.
이 사장은 향후 디스플레이 업계의 발전을 위한 과제들도 제시했다.
이 사장은 "가치창출의 핵심요소인 '기술혁신'을 위해 패널업체들은 TFT 소자와 재료연구를 활성화하고 저온 공정 프로세스, 잉크제트 공정 개발을 강화해야 하며, 초고속 응답속도를 갖는 신액정모드를 개발하고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디자인 역량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사장은 "시장은 예측하기보다는 창출해 나가는 것"이라고 강조하고 "성장동력 발굴과 기술혁신이 뒷받침된다면 2012년에는 디스플레이 시장 규모가 올해보다 50% 성장한 1천500억 달러 규모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성사진과 전자지도를 함께 봄으로써 현장의 여건을 미리 조사하여
즐거운 여행이 될 수 있도록 좋은 정보를 제공하여 드리는 사이트입니다.
화이트버드 www.whitebird.co.kr
회원가입도 없는 무료사이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