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계약은 면역 혁신 신약 과제의 임상 3상과 상업화에 대한 프로젝트 수주다. 대상은 다수의 적응증으로 확대 중인 신약 후보물질이다.
고객사는 비밀유지 조항에 따라 공개되지 않았다. 계약 기간은 2030년까지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이번 파트너십을 글로벌 시장에서 상업 생산 역량, 품질 경쟁력 입증과 미국 내 생산 거점의 지리적 이점을 보여주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
회사의 경쟁력으로 미국 시러큐스 바이오 캠퍼스와 2027년 가동 예정인 한국 송도 바이오 캠퍼스를 단일 품질 시스템으로 운영하면서 미국 제약바이오 기업과의 협력 확대는 물론 안정적인 공급과 신속 유연한 수요 대응 역량을 갖췄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최근 롯데바이오로직스는 미국 내 바이오 생산 리쇼어링(본국 복귀) 트렌드와 공급망 재편 흐름 속에서도 3건의 수주를 성사시키며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했다. 미국과 송도 듀얼 사이트 운용 이점을 극대화해 차별화된 위탁개발생산(CDMO) 솔루션으로 고객 기반을 넓힌다는 전략이다.
롯데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이번 계약은 당사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기술 경쟁력에 대한 확고한 신뢰를 바탕으로 체결된 성과”라며 “세계적인 바이오 제조 허브로서의 입지를 공고히하고 전 세계 환자들에게 혁신적인 치료제가 공급될 수 있도록 파트너사들과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정현철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