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면 현금대체 수단이 될 수 있는 금값은 안전자산으로 선호되면서 사상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강세를 보였지만 현금을 확보하려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상승폭을 줄였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NYMEX)의 4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 중질유(WTI)는 장중에 7달 가까이 떨어지는 등 급락세를 보인 끝에 지난주 종가보다 4.53달러(4.1%) 떨어진 배럴당 105.68달러에 거래를 마쳐 17년만에 가장 큰 낙폭을 보였다. WTI는 이날 개장 전 전자거래에서 배럴 당 111.80달러까지 상승, 지난 1983년 원유 선물거래가 시작된 이후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우기도 했다.
런던 ICE 선물시장의 5월 인도분 브렌트유는 지난주 종가보다 4.46달러(4.2%) 내린 배럴당 101.74달러를 기록했다. 브렌트유는 이날 장중에는 배럴당 107.97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었다.
반면 4월 인도분 금 가격은 이날 안전자산 선호도가 지속되면서 온스당 1천33.90달러까지 올라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뒤 지난주 종가보다 3.10달러(0.3%) 오른 온스당 1천2.6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국제유가와 금값은 베어스턴스 사태로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18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를 1%포인트나 대폭 인하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달러화 가치가 최저치로 추락하자 사상 최고치로 치솟기도 했으나 미국의 2월 산업생산이 감소하는 등 미국의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고 금융시장 혼란으로 현금을 확보하려는 분위기가 확산된 영향을 크게 받았다.
미국의 2월 중 광공업을 포함한 산업 생산은 0.5% 줄어 지난해 10월의 0.6% 감소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고 FRB는 이날 밝혔고, 뉴욕연방준비은행이 발표한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지수도 마이너스 22.2를 기록, 사상 최저치로 떨어지는 등 미국의 경기침체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연합뉴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