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러니 소비자들이 혼동하는 것입니다.
변액유니버셜은 기본 사망보험금을 적립하는 금액 일부와 사업비(설계사 수수료, 운용수수료등) 이 12%~15% 에 해당하며 (회사마다틀림) 나머지는 특별계정에 투입되어 펀드로 운용됩니다. 즉 보험이지요. 따라서 적어도 5년이상의 장기투자에만 적합한 상품입니다. 펀드로 5년을 운용해도 무관하지만 펀드의 수수료 체계상 5년이상 장기 투자의 경우 수수료가 엄청나게 불어납니다.
변액상품 대처방법
결론은 1년 정도의 단기투자시에는 일반 뮤추얼 펀드를 선택하시고
3년 이상의 장기 투자시에는 변액유니버셜 상품이 훨씬 유리하다
할 수 있습니다. 설계사의 불완전한 설명으로 피해를 보신 분들은
급한 환매를 하는 것 보다 투자금액을 변경할 수 있는 2년이 지난 시점에서 최소 가입금액으로 감액을 신청하셔서 장기투자의 혜택을 노리시는게
유리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상입니다. (soldpop@nate.com)
변액상품의 특징5~6
5. 장기간에 걸쳐 적립식으로 투자했기 때문에 작은 반등에도 높은 수익을 낼 수 상품으로 완성 되었기에 전액 환매하여 해지하는 것 보다
그 시점에서 필요한 금액만 인출하고 나머지는 계속 굴리는 것이 유리합니다.
6. 보험상품은 10년이상 유지시에 발생한 모든 수익에 대해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합니다.
변액상품의 특징4
4. 해약환급금(해약시 찾게되는 적립금)으로 발생한 돈이 필요한 시점에서 원금보다 적다고 하여 펀드수익률이 마이너스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2년이 된 시점에서 총 1000만원을 투자한 고객이 해약환급금이 800만원이 발생한 경우 이것을 해약하고 800만원으로 찾는다면 고객은 -20% 수익으로 확정짓는 것이지만 실제펀드상에서는 20% 이상의 수익이 나있는 상태일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완전해약을 통해 손실을 확정짓는것은 올바른 선택이 아닙니다.
따라서 5년 이상의 장기투자에 적합한 상품이므로 단기로 자금을 쓰실 분들에게는 적절치 못한 상품입니다. 그리고 이 글을 쓴 기자분 역시 변액보험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지 않나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