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 큰 여성이 작은 여성에 비해 오래 산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서울대 보건대학원 성주헌 교수와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송윤미 교수팀은 1994년부터 2004년까지 40~64세의 건강보험 가입 여성 34만4천519명을 대상으로 키와 사망률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키가 5㎝ 클수록 사망률이 7%씩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역학회지(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최근호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조사 시작시점인 94년에 여성을 키에 따라 149㎝ 미만, 149~151㎝, 152~154㎝, 155~157㎝, 158~160㎝, 161㎝ 이상 등 6개 그룹으로 쪼개 약 10년(평균 9.86년)이 지난 2004년에 이들의 사망률을 분석했다.
각 조사 대상자별로 다른 알코올 소비와 흡연, 운동습관, 사회.경제적 요인 등을 연령대별 같은 조건으로 모두 보정해 최종적으로 키 5㎝ 증가에 따른 사망률의 상관관계를 연구했다.
조사 기간에 모두 1만2천16명의 여성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 원인으로는 암이 40.8%로 가장 많았고 순환기계 질환(26.8%), 뇌졸중(16.6%), 심장혈관이 막히는 허혈성심장질환(4.5%) 등이 뒤를 이었다.
키와 사망률의 관계를 질환별로 보면 호흡기계 질환이 키 5㎝ 증가에 따라 사망 위험도가 16% 가량 감소했다. 키 155㎝인 여성이 160㎝인 여성에 비해 호흡기계 질환에 의한 사망위험도가 16%나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뇌졸중도 키 5㎝를 기준으로 16%의 사망위험도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당뇨병과 순환기계질환이 각각 13%, 허혈성심장질환 7% 등으로 나타났다.그러나 암은 반대 현상을 보였다. 키가 5㎝ 클수록 사망 위험도가 5% 증가했다.
암의 종류별로는 난소암이 29%나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간담도암.유방암이 각각 11%, 대장암 7%, 뇌암 5% 등이 뒤를 이었다.
연구팀은 키가 큰 여성의 사망률이 전체적으로 낮은 것은 심혈관계질환과 뇌졸중, 당뇨병 등의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