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가 일자리 300만개를 만들기 위한 정책 마련에 본격적으로 팔을 걷어 붙였다.
전경련은 다음주 처음으로 `300만 고용창출위원회' 실무위원회를 열어 현재 논의중인 사업 프로젝트와 함께 정부에 제안할 정책 과제 등을 점검하기로 했다.
실무위는 고용 환경과 산업 육성, 투자 환경, 지역 개발 등 전경련 경제본부와 산업본부 등이 분과별로 진행한 내용을 취합해 실행 가능성을 타진할 계획이다.
지난해 말 300만 일자리 창출'이라는 화두를 처음 던졌던 전경련은 지난달 11일 국무총리와 여야 대표 등을 초빙한 가운데 300만 고용창출위원회를 출범시켰다.
전경련은 앞서 올해초 일자리 창출에 `올인'을 선언하고 투자고용팀을 신설하는 등 브레인스토밍(brain storming) 시스템을 가동했다.
분과별 실무팀은 대학교수를 포함해 민간 연구소 등 업종별 전문가 회의를 매주 3∼4차례 개최하면서 아이디어를 짜냈다.
위원회가 내건 300만명은 선진국보다 우리나라가 부족한 일자리를 산출한 것이다. 위원회는 2017년까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려면 향후 8년에 걸쳐 매년 40만개의 일자리를 만들어 내야 한다.
위원회는 진척이 부진한 지방자치단체 사업 활성화를 위한 펀드 조성, 프로야구장 등 스포츠시설 규제 완화에 따른 민간 투자 등 다양한 일자리 창출 방안을 마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경련 사무국의 한 관계자는 "일자리 창출은 올해 주요한 국정 목표이자, 전경련의 최대 목표"라면서 "실무진의 모든 역량을 집중시키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