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현대인의 각종 암을 개인별 특성에 맞게 '맞춤형 항암' 치료할 수 있는 원천기반기술을 개발했다.
10일 교육과학기술부에 따르면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박제균, 고려대 안암병원 유방센터 이은숙 교수팀은 극소량의 암 조직만으로도 종양 표지자, 바이오마커 등 다양한 암 판별 물질을 동시 검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하나의 작은 암 조직만으로도 한 번에 최대 20여개의 표지자까지 검사할 수 있다. 따라서 비용을 200분의 1로로 절감하고 분석시간도 10분의 1로 단축할 수 있다. 기존 검사는 하나의 암 조직에서 1개의 표지자밖에 검출하지 못했다.
특히 이번 연구결과는 동물이 아닌 인간의 암 조직을 직접 이용한 임상실험을 통해 증명한 최초의 사례로 의미가 크다.
이은숙 교수는 "이 기술을 이용하면 검사에 필요한 비용과 시간을 상당 부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초기 정밀검진이 가능해 향후 개인 맞춤형 항암치료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적으로 저명한 온라인 오픈액세스 과학전문지인 '플로스 원(PLoS ONE)' 최신호(5월 3일자)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