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11일 `유로화의 미래'란 보고서에서 "유로화가 지난 10년간의 `행복한 유년기'를 마감하고 많은 문제로 고민해야 하는 `혼돈의 사춘기'에 접어들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한은은 EMU 체제가 `하나의 유럽'이란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유럽 각국이 오랫동안 노력해 얻은 산물인 만큼 쉽게 붕괴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한은 해외조사실 박진호 차장은 “유럽경제통화동맹(EMU)의 보강, 불균형 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 등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향후 상당 기간 체제의 불안정성은 이어지겠으나 EMU 붕괴라는 극단적 상황으로까지는 가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만일 리밸런싱(rebalancing)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그동안 유럽경제의 발목을 잡아왔던 고질적인 문제가 해결되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유럽연합(EU)이 일단 구제금융으로 시간을 벌면서 유럽통화기금(EMF) 설립이나 공동 유로채권 발행, 재정규율의 엄격한 시행, 회원국의 채무 재조정 제도 도입, 통합감독기구 설립 등 EMU 체제의 보완에 나설 것으로 한은은 전망했다.
박 차장은 “유로화가 미국 달러화를 대신해 기축통화로 부상할 가능성은 낮아졌다"라며 “이를 계기로 중국이 위안화의 국제화를 더욱 빠르게 추진할 것으로 니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유럽경제통화동맹(EMU) 체제의 보안 방안들은 각국의 이해관계가 걸려 있어 실제 제도화되기까지 난항이 예상된다."라며 "국제투기자본이 유로화의 약세에 베팅하고 있고 이런 추세는 지속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